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UNIST는 정시모집을 실시하지 않고 100% 수시모집으로만 학생들을 선발하며, 수시모집의 각 전형은 서류 평가와 면접 평가를 주요 전형 요소로 삼고 있다. 이공계특성화대학 중 POSTECH ... 경우 B세포를 형질세포로 분화시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기능에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답
해
야 ... ...
Part 5. 빙하를 직접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않았어요. 현재 라다크 지역에서는 이 인공 빙하에서 얻은 물로 나무를 기르고 가뭄을
해
소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잠수 로봇부터 인공 빙하까지! 빙하를 구하라!Part 1. 빙하의 수난시대Part 2. 빙하가 녹으면 어떤 일이?Part 3. 빙하를 감시하라!Part 4. 빙하를 보존하라 ...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못했지만, 그동안 지진이 발생하는 경로나 지구 자기장이 형성되는 원리를 이용
해
내부 구조를 과학적으로 확인했거든요. 하지만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지구공동설을 믿고 있답니다. 지구 속에 매머드나 공룡 같은 멸종 동물들이 살고 있다는 주장도 하지요. 정말 재미있는 상상이죠 ... ...
[식물 속 동물 찾기] 황금 강아지를 닮은 금강아지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곡식인 ‘조’의 조상이라고 알려져 있어요. 야생에서 자라던 강아지풀을 개량
해
지금의 조가 탄생한 거예요. 실제로 옛날부터 흉작이 들면 강아지풀을 빻아 죽을 끓여 먹었어요. 요즘은 강아지풀을 가축의 사료로 활용하기도 한답니다 ... ...
[과학뉴스] 괌 앞 바다산에 출연연 이름 붙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괌 동쪽 앞바다
해
산에 국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이름이 붙는다. 한국
해
양과학기술원(KIOST)은 2016년 취항한 이사부호 탐사팀이 발견한 수중화산 ... 위
해
노력하는 한편, 올
해
안으로 국제수로기구(IHO) 산하
해
저지명소위원회에 제출
해
세계 공식지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할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나무를 팔아 생계를 잇는 바람에 산은 녹색이 아닌 흙색을 띄었죠. 내다 팔기 위
해
마약의 재료인 양귀비를 재배하다가 마약에 중독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탐사대가 찾아갔을 때 도이 퉁은 숲으로 가득하고 차와 커피가 유명하며 유기농 채소가 신선한 곳이었습니다. 가까운 매 파 루앙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암호
해
독을 잘하려면 셜록 홈즈도 울고 갈 추리력과 탁월한 직관력이 있어야 합니다. 수학적 사고는 필수고요. 여러분은 어떤가요? 자신의 숨은 능력이 궁금하다면 다음 ...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Part 2. 화이트
해
커가 필요
해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
해
커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심리학자 등 전문가 245명을 동원
해
심리부검을 했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자살 원인을 분석
해
자살예방프로그램을 마련했다. 그 결과 2012년에는 10만 명당 15.8명으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28.5명으로 과거 핀란드와 비슷한 수준으로 자살률이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2009년 처음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해
요. 영국의 발명가이자 기계공학자인 ‘제임스 와트’는 증기기관을 만들고 널리 보급
해
산업혁명의 시대를 열었어요.1736년 1월 19일에 태어난 와트는 글래스고 대학 공장의 기계공으로 일했어요. 흔히 와트가 증기기관을 최초로 발명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당시 증기기관은 이미 발명되어 ... ...
[과학뉴스] 목성 대적점의 비밀이 밝혀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주노 프로젝트의 수석연구원 스콧 볼튼은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온도차이로 인
해
대적점 속의 강렬한 바람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어요. 연구팀은 목성의 대적점이 점점 줄고 있다는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어요. 현재 목성 대적점의 크기는 1만 6000km로, 1979년 보이저 호가 관측했던 ... ...
이전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