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07
1976년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태권V는 날개도 없는데 자유자재로 비행한다. 발바닥에 있는 분사구에서 불을 뿜으며 육중한 로봇이 떠오른다. 때로는 별도의 장치 없이 우주까지 무리 없이 날아간다.태권V와 비슷한 일본의 마징가Z는 날개와 제트엔진 역할을 하는 ‘제트 스크랜더’(Jet Scrander) ... ...
1. 너희가 섹스를 아느냐
과학동아
l
200607
성을 뜻하는 섹스(sex)는 라틴어로 ‘나누다’는 의미를 지닌 단어(secare)에서 유래했다. 본래 암수가 한 몸이었는데 암컷과 수컷으로 분리되었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성의 1차적 목표는 생식(reproduction)이다. 생물은 본능적으로 자신을 닮은 개체를 만들어 그 개체로 하여금 자신의 생존 방식을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07
올 7월 9일로 탄생 150주년을 맞는 ‘세기의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의 연고지를 두고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가 실랑이를 벌였다. 테슬라가 태어난 곳은 크로아티아지만, 조상을 따져보면 세르비아 사람인 까닭에 양국에서 연고권을 주장한 것이다. 하지만 이 논란으로 양국이 내분을 앓을 것 같지 ... ...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07
김치로 위협적인 전염병을 막을 수 있을까? 지난 2003년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가 세계를 위협했을 때 ‘김치가 사스를 막는 효과가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지난해 3월 한 국내 전자회사는 김치 추출물을 필터에 추가해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를 막는 에어컨을 출시한다고 발표했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07
대부분의 과학분야가 마찬가지지만 20세기 이전까지 천문학은 특히나 여성의 접근이 어려웠다. 그럼에도 여성의 진출을 선도했던 두 명의 과학자가 있었다.각각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한 두 여성은 열악한 환경속에서도 천문학에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225 년 전, 천왕성을 발견한 윌리엄 허셜은 많 ... ...
내 손으로 밝히는 태양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
3월 29일은 달이 태양을 가리는 개기일식이 있는 날이에요. 태양이 달에 가려지는 신비한 광경이라서 과학자뿐만 아니라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이번 개기일식에 기대를 하고 있지요. 그런데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고 해요.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터키나 이집트와 같이 일식을 볼 수 있 ...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06
지난 50년 동안 디스크 드라이브는 이제 거의 최대 한계에 다다른 기술인 수평 방향의 자성 기록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해 왔다. 최근 새로 선보인 수직방향 기록 방식은 동일한 매체를 이용해 최대 10배까지 기록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오키나아제라고도 한다 생체 내에서는 근육 수축 ... ...
스티븐 호킹이 행복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06
영국의 우주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불치병인 루게릭병을 앓고 있다. 폐렴으로 기관지까지 절개한 그는 말도 못하고 손가락도 두 개만 쓸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이런 신체장애를 딛고 우주 생성의 비밀에 가장 근접한 이론을 내놓았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두 차례나 강연할 정도로 활동이 활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06
많은 사람들은 집에 비디오나 DVD가 있는데도 영화관이나 공연장을 직접 찾는다. 사물놀이 공연을 처음 보는 외국인들도 곧 함께 어울려 춤을 춘다. 월드컵 경기를 보다 응원 북소리를 들으면 나도 모르게 주위 사람들과 하나가 된 느낌이 든다.여기엔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영화관 스크린 뒤의 대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06
항성이란 하늘에 고정된 붙박이별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실 항성을 포함한 모든 별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항성이 이동한다는 발상의 전환에서 시작해 가장 빨리 움직이는 붙박이별을 찾기까지 그 뒤에 드러나지 않은 천문학자들의 열정은 뜨거웠다.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발표하자 반발이 거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