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02
작고 혼천의에 연결된 것이긴 하지만, 동아시아에서 가장 정확한 지구의이면서 또한
최초
로 제작된 것이다. 타원형의 평면에 그려진 세계지도를 정확한 위도와 경도의 선이 그어진 구(球)위에 완전히 옮겨 놓은 제도법은 매우 훌륭하다.1602년의 마테오 리치 세계지도는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
과학동아
l
199101
그러나 그 10년쯤 후인 1755년에는 칸트(Immanuel Kant)가 데카르트의 주장을 발전시킨
최초
의 성운설을 소개했다. 칸트에 따르면 태양계는 거대한 회전하는 성운에서 응축됐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놀랍게도 현대적인 우주론 모델의 기본 아이디어와 아주 비슷하다.1796년에는 라플라스(Pierre Simon de Laplace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01
성탄절에 고생대가 끝나고 중생대가 시작되며 26일이 되서야
최초
의 포유류가 탄생한다.
최초
의 영장류의 등장은 12월 30일. 말일이 되면 생명의 달력은 점점 촘촘해져간다.인간의 조상이 침팬지에서 분화하는 시점을 5백만년 전이라 한다면 우주력으로 보아 12월 31일 오후9시13분 12초다. 두발 걸음이 ... ...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01
스스로 움직이게 되면 해저에서 목표를 정하는 것 같은 일들이 보다 쉬워질 것이다.세계
최초
로 완전자동화된 심해용 로봇을 만든 나라는 소련이다. 소련의 로봇 MT-88과 MT-89는 음향으로 조종되는 자동화 로봇으로 이들은 이미 대서양과 노르웨이 연안에 침몰한 두 대의 소련 잠수함을 찾은 바 있다. ... ...
마야(Maya)문명
과학동아
l
199101
숫자를 발견한 사람은 힌두교인이지만 그 0이라는 숫자를 숫자의 시발점으로 세계
최초
로 사용한 사람은 마야인이다. 그들은 0을 얼굴 눈동자 꽃 그림 등으로 표시했다.마야족은 건축 도자기 조각 보석세공술 그림 음악 춤 등 예술에 뛰어난 자질을 보였다. 특히 건축술은 라틴아메리카 전 부족중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01
하지만 멀지 않아 퓨전이라는 수식어도 우리 귀에 익숙하게 될 것이다. 요즘의 퍼지처럼.
최초
의 퓨전관련 논문은 입력 출력이 여러 개인 NN에 퍼지의 특징을 적용한 것이었다. 퍼지이론은 일반적으로 논리적인 표현을 해야 하는 분야에서 큰 효과를 나타낸다. 인간이 지니는 논리를 기존의 수식을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01
발달은 컴퓨터의 성능을 개선시켰으며 가격은 반대로 낮아졌다.IBM과 클론업체1971년 세계
최초
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텔404의 개발과 1970년 IBM의 8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개발을 기점으로 하여 컴퓨터 기술은 급변했다. 1977년 미국의 애플사 탠디사 코모도어사에서 퍼스널 컴퓨터를 만들기 ... ...
4. 워크스테이션
과학동아
l
199101
비해 무게도 무거워 진정한 의미에서 랩톱이라 할 수 없다. 이번에 개발된 제품이 세계
최초
의 휴대용 랩톱 워크스테이션으로 인정받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삼보의 랩톱 워크스테이션은(모델명 SLT-100, 200) 12.5MIPS 및 15.8MIPS의 처리속도를 실현하며 액정모니터를 통해 고해상도 그래픽을 출력할 ... ...
성 호르몬 과다가 불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101
것일수도 있다는 것이다.한편 자콥스박사는 자신들의 연구가 생리주기의 전반기에 관한
최초
의 고찰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불임문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생리주기 후반기에 초점으로 두고 진행됐다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학술조사의 목적으로 북한 땅을 밟은 것은 지난 1972년이었습니다. 2차대전 이후 양국간
최초
의 생물학 교류였던 셈인데 사실 헝가리는 19세기부터 우리와 생물지리학적으로 관련이 깊은 동유럽 소아시아 지역의 생태를 연구해 왔기 때문에 거리는 멀어도 동물지리구상 같은 구북구(舊北區)에 속하는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