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싸우고 화해하고… ‘양은 냄비’ 커플이 잘 깨진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양은 냄비 스타일의 극적인 커플이었다. 반대로 상대방 중심 커플은 장수 커플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티격태격 커플은 결혼에 대한 생각이 점차 줄어들기는 했지만 극적인 커플보다는 관계가 잘 유지됐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결혼과 가족’ 10월 2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자연적으로(진화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즉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만약 그렇다면, ‘폭력과 살인’ 유전자가 살아남아 있는 것도 진화적으로 적응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뜻이 된다.폭력이라는 본성도, 폭력의 시대도 없다하지만 폭력의 유전적 근원에 대해서는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드론 가격이 우리나라 돈으로 400만 원까지 내려갔다.원치 않는 드론 막아내야 대중화도 가능드론 대중화의 발목을 잡는 것은 사실 기술이 아니다. 드론은 편리한 만큼 위험하기도 하다. 갑자기 공중에서 고장이 나서 추락할 수도 있고, 테러리스트가 폭탄을 넣어 운반할 수도 있다. 촬영용 드론이 ... ...
- [Life & Tech] 4가 백신, 맞을까 말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다. 이 연구사는 “유행할 바이러스를 100% 정확하게 안다는 건 불가능하다”면서도 “변종 바이러스들의 유전 정보를 분석하는 등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물론, 백신이 만능이 아니라고 해서 맞지 말아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백신은 ... ...
- ‘ 공학이 좋은’ 공대생, 고등학교로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로봇을 만들고, 스마트폰을 통해 명령을 내려 움직이게 하는 영상(뱀 로봇은 ‘후진’도 가능했다!)을 보여주며 컴퓨터공학의 응용분야를 설명했다. 학생들은 감탄하면서도 “컴퓨터공학은 수학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수학을 잘해야 한다”는 말에 한숨을 내뱉기도 했다.KAIST 전자공학과 강경구 ... ...
-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0% 안팎인 ‘BRCA1 유전자 이상’이 발견돼 유방을 절제하는 수술을 받았는데, 표적 치료가 가능해지면 굳이 유방을 절제하지 않아도 될지 모른다.명 교수는 NIH 재직 시절 약 30만 개의 화합물을 분석해, 암세포의 DNA 복구 과정을 막아서 암세포를 죽이는 후보물질을 300개 정도로 압축했다. 그는 “특히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비스듬하게 자리해 있어서 입체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3차원 방향전환 가능한 소프트웨어문치웅 인제대 의용공학과 교수는 최흥국 인제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등과 함께 해마를 3차원 구조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올해 2월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에 논문으로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부담으로 넘어간다. 이는 전기요금 상승과 원자력발전소 증설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숫자 싸움을 멈추고, 실행에 옮길 때앞으로 기후변화 대처에 중요한 두 가지는 녹색기술의 발전과 그것을 뒷받침할 자금이다. 지난 5월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와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IK)는 기술이 ...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자동차, 인형들은 모두 트리의 빛에 맞춰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인터넷도 없이 그게 가능하냐고요? 물론입니다.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즉 빛으로 통신하는 기술이니까요. 어두운 바다에서 등대와 고기잡이배가 빛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과 개념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LED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한다. 거대한 몸집을 유지하려면 물질대사가 활발해야 하며, 결국 체온이 일정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미국 플로리다대 생물학과 제임즈 질루리 교수팀은 이같은 주장에 힘을 싣기 위해 공룡의 성장률을 토대로 체온을 추정하는 수학모형을 만들었다. 공룡의 성장률은 뼈 단면을 보면 알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