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04. 유전자 부실하면 몸조심해 살아 남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람들의 유전자 발현 유형을 분석해 현재 암이 있는지 여부뿐 아니라 추후 암이 발생할
가능성
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도 있을 것이다.비만, 게으름 문제만은 아니다 “체중계는 눈에 보이는 양심으로 육체뿐 아니라 인격을 잰다.”미국의 작가 크리스틴 터휸 헤릭은 1917년 출간된 ‘살 빼고 잘 ... ...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미국은 GPS를 운용하면서 의도적으로 오차를 발생시켰다. 정확한 위치 정보가 악용될
가능성
이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러나 지난 2000년 5월 이후 고의적 오차를 제거했다. 유럽에서 GPS에 상응하는 GALILEO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유럽은 관련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 ...
여우야, 여우야, 살았니 죽었니?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군사지대이며 이번에 발견된 여우가 수컷이기 때문에 암컷이나 새끼 여우가 있을
가능성
이 크다고 한다. 환경부는 여우가 4월 말에서 5월경에 새끼를 낳기 때문에 잘 활동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5월에 다시 체계적인 정밀조사에 나설 예정이다.한편 3월 27일 여우의 사체에서 채취한 정자 중 약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류석 각섬암 역시 초고압 조건을 경험했을
가능성
이 있다. 주목할 점은 우리나라 고압 각섬암의 생성 시기는 약 2억3천만-2억5천만년 전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중국의 대륙충돌대에서 보고된 나이와 엇비슷한 결과다. 이는 한반도의 임진강대와 경기육괴에 걸친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변화하기도 했다. 최악의 경우 1백년 후에는 현재 해안선에서 무려 4-8km 까지 후퇴할
가능성
이 있다. 앞으로 해수면 상승에 철저히 대비해야 서해 갯벌이 보존될 수 있는 것이다.걸어서 서해 건너온 우리 조상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한반도에서 살았을까? 충남대 고고미술사학과 이융조 교수는 “약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발표했다. 이는 지구과학의 혁명을 일으킨 판구조론의 열풍에 힘입어 동해가 확장됐을
가능성
을 시사하는 것이다.1980년대 초에는 일본열도의 암석에 대해 더욱 정밀한 고지자기 자료와 연대측정자료, 그리고 미화석연구가 보태졌다. 그러면서 곧게 뻗어있던 일본열도가 휘어진 것은 약 1천5백만년 ... ...
인텔, 한국에 R&D센터 문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앞서 실시된 실사 결과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며 “개발된 기술의 시험 시설로 활용될
가능성
이 높다”고 점쳤다.한편 정부는 인텔 연구소 외에도 올해중 모두 6곳의 R&D센터를 국내에 유치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 연구소 설립을 검토중인 기업으로 IBM, HP,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거론되고 있다 ... ...
05. 백악기 경상도는 공룡 천국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 백악기 말기까지 살아남았는지는 알 수 없다.하지만 그럴
가능성
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백악기 말 공룡멸종의 원인을 운석충돌과 화산활동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 공룡은 백악기 후기에 일어난 격렬한 화산활동에 의해 이보다 훨씬 일찍 자취를 감추고만 것이다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자문을 요청했다. 손 교수는 이를 계기로 웜홀이 먼 우주로 여행하는 통로나 타임머신의
가능성
을 갖고 있는지를 본격적으로 연구해 그 해결책을 찾아냈다. 어느 정도 소설 콘택트의 설정에 힘을 실어준 셈이다.원작이 탄탄한 과학적 배경을 가진 콘택트의 경우도 영화에서는 몇가지 허점이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 있다. 따라서 지르콘은 그가 속해있는 암석의 최초 사건에 대한 기록을 갖고 있을
가능성
이 높다. 실제로 지르콘을 이용해 지구 최초의 육지지각물질이 44억년이나 됐다는 점이 밝혀져 2001년 ‘네이처’에 발표되기도 했다.조 교수는 한반도 내 오래된 지층 속 암석 가운데에서 지르콘의 연대를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