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이 아니다.인간게놈이 단순히 기존의 생물학만의 연구
대
상이 아닌 것처럼, 나노과학이 모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다방면 전문가들의 공동연구를 필요로 한다. 그야말로 21세기는 통합의 세기인 셈이다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급성 전염병이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여러 나라들은 1967년 이후부터 실시한 구제역에
대
한 철저한 검역과 예방접종, 구제역 발생지역의 동물을 소각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구제역을 거의 근절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번 영국의 구제역 발생으로 적지않은 충격을 받았다.구제역 ... ...
구장산술에도 유클리드 호제법 나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최
대
공약수를 구할 때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유클리드 기하원본에 소개된 호제법이다.놀랍게도 구장산술 첫장에 나오는 단순한 분수 계산의 ... 식이 성립하지요. 유클리드 호제법의 원리는 바로 여기서 A와 B의 최
대
공약수가 B와 R의 최
대
공약수가 같다는 말이랍니다. 그런데 왜 그럴까요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방법은 도로를 많이 건설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도로가 늘어나는 속도가 차량
대
수의 증가 속도를 따라 잡기는 힘들어보인다. 아직까지 시원하게 교통 체증을 해결할 방법을 어느 누구도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그러나 내 차선이 남의 차선보다 빠르다고 느낀다고 조급해서 옆 차선으로 옮길 ... ...
정월
대
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상
대
적 위치가 원래
대
로 되돌아오는 회합주기는 약 13개월이다. 목성이 지구와의 상
대
적 위치가 태양-지구-목성인 순서로 일직선으로 나열될 때를 ‘충’이라고 한다. 이런 목성의 충 현상도 회합주기가 13개월이기 때문에 약 12년에 한번씩 나타나지 않는 해가 있다. 올해가 바로 그 해이다. 즉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대
롱모양이면서 굵기가 10억분의 1m밖에 안되는 탄소나노튜브는 도체이다가 다발로 있을 때는 반도체가 된다. 또 이들이 십자모양으로 배열되면 트랜지스터로 만들어지고, 디스플 ... 서울
대
학교 물리학과 교수1991년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최우수논문상 수상1995년 제5회
대
한민국과학상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얼마 전까지만 해도 네티즌하면 가장 신세
대
고, 첨단을 달리는 젊은이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이제는 그들도 구세
대
가 되고 있다. 2001년 ... 격차를 막고, 이러한 문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성화 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멀티즌 시
대
가 풀어가야 할 숙제라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특히 제작의 기술적인 면에서 그동안 미야자키 자신이 꺼려왔던 컴퓨터 그래픽을
대
폭 수용해 극도로 박진감 넘치는 액션과 활극을 보여준다.미래소년 코난제작/닛폰애니메이션, 1978년작/전26편NHK 최초의 시리즈물로 미야자키가 처음으로 연출한 작품. 알렉산더 케이의 소설 '남겨진 사람들'을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전세계 유산균 관련 시장 규모는 20조원에 달합니다. 우리 회사가 1%만 차지해도 웬만한
대
기업 부럽지 않겠죠.”정사장은 지금 그 꿈에 부풀어 있는 것으로 보였다. 창업 후 몇년 간 공장 숙직실에서 먹고 자며 개발에만 매달리면서 주말에나 가족을 보는 아쉬움을 회사의 성장으로 보상하려는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헬리코박터균 밀도가 감소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면역달걀의 경우, 환자를
대
상으로 임상실험이 이뤄졌다. 김교수는 헬리코박터균의 변화를 조직학 검사로 관찰했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서 헬리코박터균의 수가 눈에 띄게 줄어들지는 않았다. 김교수는 “환자들이 스스로 증상이 좋아졌다고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