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비해 아직 부족한 수준이어서 국가 연구방향을 설정해 역량을 집결할 필요가 있다”며 “대학, 국책연구기관, 기업이 서로 협력해 성과를 바로 산업화하는 ‘이노밸리(혁신지역)’ 형태의 지원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화학공학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기업 연구원으로 6년을 일했어요. 그런 뒤에 다시 대학으로 돌아왔습니다. 예전에는 연구자라면 한 가지를 깊게 파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고, 그럴 수 없는 환경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편이었어요. 하지만 지금 돌아보니 오히려 다양한 경험이 지금의 연구를 하는 데 큰 ... ...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공부를 하게 된다. 그 과정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특정한 형태로 기록될 것이고, 각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은 그 기록을 통해 학생들을 이해하고 진단할 것이다. 따라서 학생부에는 얼마나 성실하게 고교생활을 보내왔고, 자신의 진로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또 어떻게 노력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세상을 떠날 때까지 천문대장을 맡은 괴팅겐 천문대였어요. 독일어권에서 3번째로 생긴 대학천문대예요. 가우스는 가난했지만, 천문대장이 된 뒤로 돈 걱정 없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었다고 해요. 이곳은 전신을 품은 레이저가 출발하는 장소 이기도 합니다. 오래된 관측소지만, 최근까지도 쓰였다고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여러분은 슬링키를 어떤 방법으로 즐기나요? 보통 양손으로 슬링키를 잡고 저글링을 하듯이 위아래로 손을 엇갈려 움직이며 코일이 오른쪽, 왼쪽으로 쏠리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해요. 그런데 슬링키를 제대로 즐기려면 계단에 굴려야 한대요. 슬링키를 계단에서 떨어뜨리면 우당탕탕 내려 오거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20일 동안 대결을 펼쳤다. 세계 최고 프로 포커 선수에게 덤벼 든 상대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의 포커AI 리브라투스다. 리브라투스는 카네기멜론대에서 게임이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개발한 포커 프로그램이다. 포커AI의 도전이 처음은 아니다. 이전까지 모든 승부는 인간의 승리로 끝났다. ... ...
- 수학킹 만드는 보드게임 매트리킹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아무리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도 새로운 수학개념을 배울 때는 긴장하기 마련이에요. 처음보는 공식과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수학책이 꼭 외국어 소설 같은 느낌이 들지요. 물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운동을 하는 것처럼, 수학을 공부할 때도 준비운동이 필요해요. 게임처럼 재밌는 준비운동을 하 ... ...
- [과학뉴스]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와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동 연구팀이 고대 파충류 ‘바다사우루스 헤르조기(Vadasaurus herzogi)’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서도 ... ...
- Part 3. 반 고흐의 그림을 추적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반 고흐 방의 진짜 벽 색은? 테오에게. 이번에 그린 그림은 나의 방이다.벽은 창백한 보라색이고, 바닥에는 붉은 타일이 깔려 있다. 위의 글은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쓴 편지 중 일부예요. 미국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연구팀은 편지의 내용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어요. 고흐의 그림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대를 위한 토대를 닦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주도로 성장한 우주 분야에서 대학과 민간 기관의 참여가 활발해졌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017년 8월 15일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한 ‘실리콘 전하량 검출기(SCD)’를 ISS로 보냈다. ISS에 탑재된 첫 한국산 대형 ... ...
이전3603613623633643653663673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