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농사철에 강수량을 걱정하고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위정자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한
보기
가 된다.'선조실록'의 기사에는 "예조에서 아뢰기를 금월 14일에 비가 내렸는데, 수표 수심이 6자 4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비슷한 기사는 '인조실록'과 '영조실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강 수심에 대한 ... ...
안경과 콘텍트렌즈의 선택ㆍ취급요령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있다. 코팅하지 않는 렌즈보다 코팅을 여러 겹으로 할수록 반사광이 방지되고
보기
편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러나 가격은 점차적으로 비싸진다. 고굴절률렌즈는 렌즈의 두께가 종래의 렌즈보다 얇아졌으나 그만큼 가격은 비싸게 되었다.렌즈의 안전기준이 미국같은 나라에서는 이미 정해지고 ... ...
비파괴검사 속을 꿰뚫어 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받고 진찰을 받는 것과 같다.그렇다면 실제로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알아
보기
로 하자. 가장 초보적인 방법은 우리의 오관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눈으로 관찰하고 두드려보고 소리를 듣는 등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부정확할뿐만 아니라 검사할 수 있는 대상도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탐구활동이 제대로 되려면 많은 경비가 든다. 이런 저런 이유로 참된 과학 학습은 찾아
보기
가 매우 힘들게 되어버렸다.교육환경을 개선하지 않고 한 학급에 50~60명이 하루에도 7~8시간을 학습하는 동안에는 차라리 이러한 기대를 하기조차 불가능하다.그러나 그 어떤 이유에도 불구하고 누적된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깊이를 재어서 보고하게 하소서. 또한 외방(外方) 각 관에서는 경중(京中) 주기(鑄器)의
보기
에 따라 자기(磁器)와 와기(瓦器)를 써서 객사 뜰에 놓아 두고 수령이 물의 깊이를 재어서 감사에게 보고케 하여 감사가 전문(傳聞)하도록 하소서. 호조에서 이렇게 아뢰니 임금도 그에 따랐다."'세종실록'의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큰 놀라움과 타격을 주었음은 물론이다.적외선과 비는 상극인간은 보다 먼거리의 물체를
보기
위하여 망원경을 만들었다. 낮에는 태양빛의 반사로 인하여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으나 야간에는 달이 밝은 보름 밤일지라도 인간의 시력에 한계를 느끼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해 낸 것이 ... ...
바라는대로 되는 것만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단지 뢴트겐의 발견과 같은 중요한 발견을 하려고 너무나 원했으며 그 결과 단지 자기가
보기
를 원했던 것을 보았다고 착각한 것 뿐이다. 허나 바란다고 해서 현실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1962년 소련물리학자 '보리스 V.데리야진'은 '폴리워터'의 존재를 보고했다. 이것은 매우 엷은 관(管)에서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위의 공간에 계기판의 정보가 떠 있는 것 같이 보이게 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계기판을
보기
위해 전방을 소홀히 하지 않게 한다.이는 10년전 부터 군사용 초음속기에 사용되어 온 것으로 항상 정면을 주시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오늘날 자동차가 고속화됨에 따라 자동차에서도 입체식 계기판이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했다. 그러나 그 이유는 내가 선생님을 존경했기보다는 선생님의 행동이 어린 내가
보기
에도 다소 어리석게 보였기 때문이었다. 이런 경우에 나는 만약 내가 선생님이라면 때리거나 야단치지 않고 이런 식으로 해결했을 것이다라고 혼자 상상해보는 것이다. 나는 그러한 문제가 선생님의 개인에게 ... ...
세체개발에 바친 50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개인이나 중소기업차원에서 손을 대기가 힘에 부친다는 뜻이다. 한글을 아름답게 하고
보기
좋고 쓰기에 편하도록 다듬는 일이 어느 한 개인이나 기업의 돈벌이를 위한 작업은 아니지 않는가? 만약 이 일이 10배의 이윤을 보장한다면 누가 여태까지 손대지 않았겠는가?최초의 서체개발은 성서인쇄를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