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안녕! 난 마이보. 오늘도 재밌는 과학 영상을 찾기 위해 알고리즘을 돌리고 있어. 앗, 찾았다! 벌레의 뇌를 이식한 로봇이 있다고?! 저장! 스마트 ... 거냐고요? 궁금하면 오른쪽 QR을 찍어 보세요~. ●영상 제목레몬으로 풍선을 터뜨릴
수
있다고?●언제?2019년 8월 15일 자 ‘도전! 섭섭박사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으로 N서울타워를 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마지막은 뾰족한 첨탑으로 장식해 봐요. ‘선 모양 만들기’를 이용하면 쉽게 만들
수
있어요. ➊ 채팅명령어를 ‘6’으로 약속하세요.➋ ‘블록 채우기’ 명령을 가져온 뒤 블록은 석영으로 바꾸고 좌표는 월드좌표로 화면과 같이 바꾸세요. ➌ 고급-모양 카테고리에서 ‘선 모양 만들기’를 ... ...
[특집] 버려진 물건에 새로운 생명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고장 난 우산을 입을
수
있을까요? 다 쓴 에어백을 메고 다니는 건 어때요? 옷을 만들기 위해 꼭 새로운 원단을 쓸 필요는 없죠. 버려지는 물 ... 공장에서 옷을 만드는 것보다 시간이 몇 배나 소요된다”며 “대량생산되는 제품에 비해 다소 비쌀
수
밖에 없다”고 답했어요 ... ...
[특집] 색채연구소 지구를 위한 색깔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패션에서 색깔은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아름다운 색깔을 내기 위해 지구를 오염시켜야 한다면 어떤가요? 예쁜 색깔도 입고 지구를 지키는 방 ... 개발되기도 했는데, 이런 기술이 발전하면 하나의 옷에서
수
많은 색이나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는 날이 올 겁니다 ... ...
[4컷 만화] 지진으로 화성 내부 구조를 알아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독일 쾰른대학교, 스위스 취리히연방공학대학교 공동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가 보낸 화성 지진파 기록을 분석해 화성의 내부 ... 인사이트가 더 많은 지진 자료를
수
집하면 화성 내부의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9월 9일 그레이스 호퍼, 최초로 컴퓨터 버그를 잡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사람이 쓴 프로그래밍 언어를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계어로 바꿔주는 ‘컴파일러’를 처음 만들었고, 프로그래밍 언어인 ‘코볼’을 개발하는 데 참여하기도 했지요. 그레이스 호퍼는 지금도 현대의 컴퓨터를 만든 과학자 중 한 명으로 널리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지구를 지키는 똑똑한 방법! 꿀벌한테 배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결합력이 약해져 더 잘 떨어져 나간답니다. 이번 실험을 직접 해본 뒤 실험 사진을 어과
수
홈페이지 에 올려 주세요. 응모해 준 친구들 중 멋진 사진을 뽑아 선물을 드립니다 ... ...
우동
수
비대 우동이의 일기 3주만에 조사기록 100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가까워 과자 같은 것을 던져주는 사람들이 꽤 있었습니다. 특정 정형행동을 관찰할
수
는 없었으나, 한 자리에 앉아 허공을 응시하는 듯한 무기력함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나무 점프의 달인, 여우청서의 전략 대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여기는 동물 올림픽 2021! 저는 지금 ‘나무에서 균형 잡기’ 결승에 나와 있습니다. 강력한 우승 후보 여우청서 선
수
! 섬세한 균형 잡기에 이어 도약! 대단합니다! ... 해. 연구팀은 무너진 건물 잔해에서 생존자를 찾는 로봇 등에 여우청서의 움직임을 적용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단다 ...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7호
그동안 해온 전통 어업활동이 금지될 거란 오해도 많아요. 하지만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선에서 계속될 거예요. 인간의 채집 활동이 이제는 생태계의 먹이사슬 중 하나로 자연에 동화됐다고 보거든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고 무조건 인간의 활동을 막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공존하며 살아가도록 ... ...
이전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