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5,05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10
‘공개모집’해도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아무런 제도적 장치가 없다.그렇다면 21세기가 끝
날
무렵 누구보다 우수한 두뇌와 뛰어난 신체를 지닌 ‘신인류’는 어쩌면 한국에서 최초로 등장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신한국인’의 출현이 우리에게 달갑게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다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09
화성 바깥으로 탐사를 떠난 보이저나 갈릴레오 우주선은 모두 별 탈 없이 소행성대를 지
날
수 있었다.소행성대를 벗어나 아주 먼 궤도를 돌거나 지구의 공전궤도와 가까운 곳을 지나는 소행성도 있다. 1977년에 발견된 키론은 토성과 천왕성 사이를 돌고있는데 공전주기가 50-68년 정도다. 지름이 약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09
있다.(표1)은 다양한 스크린세이버를 구할 수 있는 인터넷 웹사이트이다. 이곳에서는 나
날
이 쏟아지는 스크린세이버를 골라 사용하기에 좋은 사이트들을 모아놓은 곳이므로 스크린세이버 애호가라면 정기적으로 들러봄직하다.한편 스크린세이버는 꼭 필요한 것만 쓰는 것이 좋다. 호기심과 재미에 ... ...
만약의 사태 대비하는 다중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909
핵반응을 급격하게 일으키기 위해 화약을 장전해둔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건드리는
날
에는 마치 성냥갑 속에 불을 당기면 꽉 들어찬 성냥이 한꺼번에 타는 것처럼 폭발한다.그런데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핵연료에는 핵분열을 일으키는 우라늄 235가 0.7% 밖에 들어있지 않다. 나머지 99.3%는 ... ...
아홉수와 13일의 금요일
과학동아
l
199909
선회한 후, 부리로 막대를 쪼았더니 먹이가 흘러 나왔다. 그러자 비둘기는 먹이가 생각
날
때마다 매번 방안을 한바퀴 선회한 후 막대를 쪼았다. 막대를 건드리는 최종적인 행동이 먹이를 나오게 하는 것이지만, 비둘기는 자신이 방을 한바퀴 선회한 것 때문에 먹이가 나온다고 생각한 것이다.아침에 ... ...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
과학동아
l
199909
있을 때 일을 해야 하는데…”라며 웃는다. 요즘 그는 서울에 있는
날
보다 제주도에 있는
날
이 더많다. 서울에 있을 때도 대부분의 시간을 자료 분류에 보낸다. 하지만 이 많은 자료를 분류하는 그의 마음은 무겁다. 은암자연박물관 운영난과 제주도 자연과학박물관 사업 때문에 현재의 서울 박물관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09
엉뚱하게 되는 식이다. 이미 위성이나 케이블 방송중인 디지털TV를 보면 폭우가 쏟아지는
날
에 때때로 영상이 이상하게 깨지거나 잠시 중지됐다 계속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에러가 원인일 수 있다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199909
것이다. 루이스는 4년 뒤 동생 나탈리를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루이스 브라운이 태어난
날
시골도시인 올덤에는 수백명의 기자들이 모여들어 금세기 최고의 의학혁명을 축하해 주었다. 어떤 이는 브라운의 탄생을 2천년 전 예루살렘에서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예수와 비교하기도 했다. 당초 ... ...
9월 8일은 중력의
날
과학동아
l
199909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은 매년 9월 8일을 중력의
날
로 정하고 새로운 중력가속도 측정 방법을 공모한다.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 그래프다. 직선의 기울기는 9.83m/초²으로 이론적인 중력가속도값과 비슷하다. 들쭉
날
쭉한 부분은 빗살의 간격이 고르지 않아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09
근래에는 영하 12℃까지 내려가는
날
씨도 쉽게 겪지 못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강이 어는
날
이 현저히 줄고 눈이 없는 겨울이 계속되는 점 등은 일반인들도 쉽게 감지할 수 있는 기후변화의 뚜렷한 증거라고 덧붙였다.한편 정 교수는 1906년 이후 강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1997년까지 92년간 우리나라의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