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10
사유방식을 뛰어넘을 수 있는 출구로 본 것이다. 우리 역사에도 이와 유사한 책이 있다.
바로
조선의 실학자 손암 정약전(1758~1816)이 저술한 ‘자산어보(玆山魚譜)’다. 이 책에도 보르헤스와 같은 비논리적인 분류가 등장한다. 과연 우리는 자산어보의 분류법으로 근대적 생물학의 분류체계가 지닌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
키가 무슨 상관이에요! 아빠는 억지쟁이!”“게임보다는 시간과 관계가 있지. 뇌
바로
밑에는 여러 호르몬이 분비되는‘뇌하수체’가 있는데, 이 곳에서 키를 자라게 하는 ‘ 성장호르몬’이 나와. 이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은 자정부터 새벽 2시 사이야. 이 때 잠을 자지 않고 깨어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10
방정식 x³+y³=T를 만족시키는 해(x,y)의 가짓수를 찾는 문제로 바뀐 거지. 이런 것이
바로
추상화야. 구체적인 예에서 일반적인 규칙으로 바뀌는 장면이지. 한 걸음 더 나아가면 하디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해서 n차 택시수가 존재함을 증명했어.다시 말하면 추상화란 이와 같이 몇 개의 구체적인 예에서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10
필요한 시간은 18초라는 값이 나온다. 여기에 4~7초의여유시간을 덧붙이는데 이것이
바로
빨간 불에서 녹색 불로 바뀐 다음 불이 깜빡이기 전까지의 시간이다. 이 때문에 녹색 불이 깜빡인 뒤에 횡단보도에 들어서면 정상 걸음으로는 건너기 힘들다. 물론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이나 지역적 특성이 ... ...
삼각형은 왜 영어로 'triangle'이라고 부를까?
수학동아
l
200910
네모난 것을 말 할 때 사용한다. 장기나 체스판 위의 사각형을 ‘square’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네모 모양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광장을 지칭할 때도 ‘square’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뉴욕 맨해튼의 유명한 ‘Time square’(타임 광장), 워싱턴의 ‘Washington square’(워싱턴 광장)이 그 대표적인 예다.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10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저는 수학이 역사적으로 문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가
바로
지금이라고 생각해요. 과학은 물론 기술이나 경제도 수학이 없으면 안 됩니다. 생물학처럼 수학이 필요 없을 것 같은 분야도 방대한 유전자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기 위해 수학을 이용하고 있고, 은행이나 ... ...
걸리버 여행기
수학동아
l
200910
라퓨타의 여러 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누어 본 걸리버는 특이한 학자 한 명을 만납니다.
바로
액자와 같은 기계로 단어를 조합해 문장을 만드는 일을 하는 언어학자입니다. 이 액자에는 그가 아는 모든 단어가 들어 있는 것은 물론 명사와 동사가 쓰이는 비율도 담겨 있다고 합니다. 그는 이런 액자 50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10
이름이 붙었다. 사람이 들어가기 쉽도록 가장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도형이
바로
원이다. 또한 원은 어느 쪽에서 길이를 재어도 크기가 같아서 구멍 사이로 뚜껑이 빠지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지름이 2.4cm인 100원 동전을 지름 2.3cm인 구멍에 빠뜨리려 해도 종이를 일부러 휘지 않는 한 절대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10
수 있든지 분수의 골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초등학교 6학년 '분수와 소수' 단원과 곧
바로
이어진다. 1÷2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고, 소수로는 0.5와 같다. 또 1÷3을 소수로 나타내면 0.3333…이다. 0.5는 유한소수이고 0.333…은 무한소수며 순환소수다. 분수를 소수로 바꾸면 유한소수거나 무한소수다.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10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가. 언어가 사고에 거의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착시다. 예를 들어 길이가 똑같은 두 선분이 달라 보이는 ‘뮬러-라이어 착시’ 같은 경우는 아무리 두 선분의 길이가 같다고 언어로 정보를 줘도 결코 두 선분이 같아 보이지는 않는다.장 피아제는 사고를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