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억을 잊고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기억상실증에 걸렸다면 13세 이후의 모든 기억
대신
친어머니에 대한 기억만을 선택적으로 잊어버릴 것이다. 다만 서울대 이경민 교수는 “기억상실증에 걸려 연인을 알아보지 못해도 과거에 사랑하던 감정을 느낄 수는 있다”고 했다.겨울연가자기 이름까지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가진 한계였다.김 교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
대신
‘면’을 사용했다.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 표면의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그려 원자의 크기까지 고려한 것. 이 방법을 쓰면 겉으로 보기에 같은 평면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단백질도 어떤 것은 편평하고 어떤 ... ...
정부와 기업이 관심을 갖는 미국의 과학교육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시연을 선보였다. 시연에는 비싸고 복잡한 과학 실험 기구
대신
동네 슈퍼마켓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식료품들이 등장했다. 캔에 담긴 다이어트 콜라와 일반 콜라를 물에 띄우면, 하나는 뜨고 하나는 가라앉는다.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똑같아 보이는 두 오이에 전류를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듣고도 개가 침을 흘린다는 것. 이를 변형시킨 모델이‘공포조건화’로 소리와 먹이
대신
소리와 전기충격을 연관시키는 방법이다.학습은 신경세포 자극 과정쥐는 전기충격을 받으면 무서워서 얼어붙은 것처럼 꼼짝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데, 이를 ‘프리징(freezing) 행동’이라고 한다. 특정한 ... ...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 프로젝트의 이름은 ‘돈키호테’. 풍차에 무모하게 도전했던 소설 속 돈키호테
대신
우주선 돈키호테는 실제로 지구를 구할 것이다. 러시아도 소행성이나 혜성의 위협을 감시하고 격추하는 행성방위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NASA는 지난해말 ‘템펠1’ 혜성에 충돌할 우주선 ‘딥 임팩트’를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분위기에 박차를 가했다. 그간 한번밖에 쓸 수 없어 경제성이 낮다는 비판을 받은 우주선
대신
계속해서 지구와 우주를 오갈 수 있는 우주왕복선 개발을 시작한 것이다.월남전으로 인해 미국은 경제적으로 어려웠고, 우주왕복선의 개발비가 예상보다 늘어나 개발 계획 자체가 취소되는 등 NASA는 여러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실을 알게 된 연구팀은 차라리 일단 들어온 먼지에 대해서는 포기하기로 했다.
대신
내부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다시 밖으로 방출하는 방법을 찾았다. 가파른 언덕과 높은 장애물 돌파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더블트랙은 이런 연구팀의 고민을 한번에 해결했다.한낮 평균 60℃가 넘어서는 사막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9단 외우기 열풍이 일고 있다. 19단은 구구단을 19자리까지 확대한 것이다. ‘9×9=81’
대신
19단은 ‘19×19=361’로 끝난다. 인도를 ‘IT강국’으로 이끈 원동력이 19단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와 함께 19단을 외우면 머리가 좋아진다는 이야기가 퍼지면서 19단의 인기는 날로 뜨거워지고 있다.서점에서는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람들은 뭐가 달라도 다릅니다. 별을 본 사람들은 공군 조종사가 돼도 적 전투기를 쏘는
대신
우주 비행사가 되려고 해요.” 별 보는 이야기가 나오니까 그의 말이 더 빨라졌다. 왜 별 이름을 딴 칵테일 하나 없냐고 한다. “‘화성의 하룻밤’이라고 하면 멋있지 않나”며 기자에게 동의를 구했다.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영국의 유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 이 병을 앓고 있다.윌머트 박사는 “사람
대신
줄기세포로 신약을 테스트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연구이며 복제된 줄기세포를 인체에 넣어 신경 기능을 재생하는 치료기술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영국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