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창설해서 기초부터 꾸준히 투자했다. 지금도 IBM의 위력은 이때 만들어진 연구
센터
'왓슨연구소'에서 나오고 있다. 박사급 연구원만도 2천명이 넘는 그야말로 거대한 두뇌공장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드디어 IBM의 작품이 SSEC(Selective Sequence Electric Calculator)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나왔다. ... ...
리온스(수학) 와일드(의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수학자 리온스박사와 미국 의학자 와일드박사가 수상자로 결정됐다.프랑스 우주연구
센터
총재로 있는 리온스박사는 컴퓨터 제어기술의 기초를 세운 공로를 인정받았다. 오늘날 용광로 화학플랜트 위성제어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에 의한 정밀제어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는 편미분방정식과 실제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완벽한 프로라고 할 수 있다. 풀하나 밟을 수 없다지난해 연말 현대백화점 무역
센터
점 미술관에서는 '백두산 고산식물 사진전'이 열려 좀참꽃 산용담 두메양귀비 등 80종의 식물사진이 선보였다. 이를 주최한 단체는 한국자생식물동호회. 현재 식물에 조예가 깊은 40여명의 정회원과 60여명의 ... ...
일본 규슈의 지질과 화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지난 1월 25일부터 4일간 일본의 규슈(九州)지역에서 실시됐다. '과학동아'와 '동아문화
센터
'가 공동주최하고 '쌍용'이 후원한 이번 행사에는 문교부 추천교사 11명 등 15명이 참가, 규슈지역의 화산관련지역을 더듬어 나갔다.우리는 일본의 지형하면 먼저 화산을 떠올린다. 일본열도 전체가 환(環 ... ...
PARTⅣ 국내연구현황 테라와트급 고출력레이저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서울대 연대 인하대 경희대 포항공대 등 전국 27개 대학의 교수 43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
센터
에서 진행중인 대표적인 과제는 1테라와트(${10}^{12}$W)급 고출력 레이저개발. "유리(Nd : Glass)레이저를 증폭기로 증폭시켜 94년까지 1테라와트급 레이저를 완성시킬 예정인데, 현재 0.1테라와트의 출력을 낼 수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신나게 달려보고 싶어했다. 그래서 이스트는 오클로호마에 있는 사볼리치 의족 연구
센터
의 존 사볼리치에게 제발 달릴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소녀의 간곡한 소망을 들어주기 위해 사볼리치는 자신이 만든 최첨단의 의족을 이스트에게 달아 주었는데 그 결과 이제 이스트는 달릴 수 있게 ... ...
1. 컴퓨터음악의 역사-전위음악에서 대중화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의한 계산(ST/10의 수정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졌다. 1970년대 크세나키스는 퐁피두
센터
의 위촉으로 '폴리토프 드 클루니'(Polytope de Cluny, 1972~74)', '디아토프'(Diatope, 1977)와 같은 대규모 멀티 미디어 작품을 제작했다. 수많은 전자 프레시(후자의 경우 1천6백개)와 레이저광, 멀티 트랙 녹음기를 사용 ...
곤충 날개의 구조와 특성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에어쇼를 펼친다해도 아직까지 곤충들의 '나는 기술'은 흉내내지 못하고 있다.영국 에크
센터
대학의 로빈 우튼 교수는 곤충에 있어서 형태와 구조가 비상기술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에 대한 연구논문을 '사이언티픽 어메리컨'에 게재했다.곤충 날개는 여러가지가 있다. 대부분은 아주 간단한 구조를 ... ...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로 통하는 게놈계획은 전세계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유전공학
센터
를 중심으로 연구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1백35년 전 멘델이 유전자의 존재를 암시한 이래 유전자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인간유전자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그동안 총 5만여 ... ...
찌르레기 둥우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용한다는 사실이 보고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 필라델피아의 모넬 케미컬 센시즈
센터
연구원인 생물학자 래리 클락씨는 새의 생태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조류학자들 사이에서는 오랫동안 알을 까기위해 둥우리를 짓는 새들이 왜 싱싱한 푸른잎들만을 쓰는지에 대해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