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틀대는 한국과학기술의 「싱크탱크」 활로는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밝힌 대형 연구과제는 모두 42개. 이 과제가 도출되기까지에는 1년여의 기간동안
전문가
1천여명과 관계 연구원들 역시 수십차례의 공청회와 회합에 동원됐고, 연구계획서 보고서 등의 준비를 위해 전체 출연연구소가 난리를 치렀다. 그러던 것이 91년 들어서자 특정연구사업은 상품화기술 중심의 G ... ...
2. 국산 DTP 프로그램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 제품만을 내놓고 있으며, 전문용으로는 문방사우 전문용 버전 1.5와 오토페이지
전문가
용 두 종류가 있다.사무용 DTP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사양을 살펴보면 우선 IBM PC AT급 이상의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있는데, 여기서 AT 이상은 필요 조건일 뿐 충분조건이 아니다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D(Mark-3D ) 3D스류디오(3D-Studio) 등이 있으며, 여기서 컬러는 필수다. 타가보드용 프로그램은
전문가
들이 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이 글에서는 생략한다. 홈컴퓨터의 정체우리가 컬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컴퓨터그래픽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윈도우즈로 대표되는 ... ...
인간 뇌속에 나침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문가
인 리처드 프란켈의 말이다.매사추세츠 대학 식물학 교수인 린 마클리스는 진화
전문가
다. 그는"커시빙크 박사는 매우 뛰어나지만 너무 앞서 나간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따라 갈 때까지 좀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언급한다.생물자기학에 대한 커시빙크 박사의 관심은 20년전 캘리포니아 ... ...
컴퓨터·소프트웨어 전시회 개최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정보처리
전문가
협회와 전자신문사가 공동 주최하는 제6회 한국컴퓨터/소프트웨어전시회가 6월 27일부터 닷새동안 한국종합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우리나라를 비롯 미국 일본 대만 호주 등에서 2백20개 업체가 8천여점의 신제품을 전시했다.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발표된 베타버전(소프트웨어회사가 제품을 개발한 후 그 제품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
전문가
들에게 시험적으로 배포한 시제품)과 (주)한글과 컴퓨터의 발표에만 의거한다면 그렇다는 얘기다.먼저 일반 사용자보다는 논문을 쓰거나 아니면 간이출판(데스트톱출판)을 하는 유저들에게 불편함을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정립됐다. 국내에서도 최근(5월 18일) 일반인들에게는 아직 낯선 이 신경과학을 연구하는
전문가
들 1백24명이 한국신경과학학회를 만들어 '신경과학의 최근 연구동향'이란 주제로 기념 심포지엄을 가졌다. 신경과학이란 어떤 학문이며 그 연구의 의의는 무엇인지 초대회장인 서울대 의대 박찬웅 ... ...
5. 운동이 당신의 몸을 망가뜨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운동을 하지만 잘못하면 부상이나 신체장애를 입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시작하는 아침 조깅이 때로는 돌연사를 유발하기도 한다.1984년 ... 하는 것이 건강의 비결이라는 옛말이 있는데, 실제로 이를 능가하는 것이 없다는게
전문가
들의 일치된 견해다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의해 혼자 알아서 처리하고 미리 프로그램돼 있지 않은 작업이나 문제는 지상의
전문가
에게 의존한다.미 국립항공우주국(NASA)은 우주개발에 TE를 활용하기 위한 전(前)단계로 우주정거장 내부의 승무원이 선외작업을 하는 로봇이 '보는 것'을 같이 볼 수 있는 헬멧을 개발했다. 이 헬멧에는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육성이 중요한 또하나의 큰 이유는 세트산업 발전과의 연계성이 높기 때문.
전문가
들은 "비메모리분야를 육성하지 않고서는 국내 반도체산업의 성장이 한계에 부닥치게 됨은 물론이고 가전 컴퓨터 공장자동화(FA)를 비롯한 전반적인 산업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심각성을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