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콩의 변신은 무죄! 콩으로 두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이때 콩물이 냄비 바닥에 눌러붙지 않도록 저어준다. 250ml의 물에 식초 2스푼, 천일염 1스푼을 넣어 간수를 만들고, 콩물이 끓으면 간수를 넣는다.⑤ 몽글몽글한 덩어리가 생기면 이를 체로 거른다. 틀에 넣고 누르면, 두부 완성! 왜 이런 일이?→ 결과 : 콩물에 간수를 넣으면 덩어리가 생긴다!콩은 ...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제작한 한국항공대학교 배재성, 박상혁 교수님을 만났어요. 이 비행기는 무려 32시간 19분 동안 땅에 한 번도 내려오지 않고 제주도 곽지해수욕장 위를 날며 우리나라 최장 비행 시간 기록을 세웠지요. 과연 그 비결은 뭘까요?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 연료가 필요 없어요. 비행기의 날개에 붙어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필요하지 않지요.이러한 연구들은 나중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기도 해요.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은 또 생길 수 있잖아요. 연구 결과가 있어야 전염병에 대한 대책을 빠르고 정확하게 마련할 수 있답니다. Q 박쥐 연구가 특별한 점이 있을까요?박쥐는 야행성 동물이라 해가 져야 본격적인 연구를 ... ...
- 비둘기 깃털에서 아이디어가 반짝! 태양광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 [특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 비행한 태양광 무인 비행기는?Part2. [특집] 아이디어1. 힘세고 오래 가는 태양전지를 찾아라!Part3. [특집] 아이디어2. 생체모방 디자인을 더하라!Part4. [특집] 아이디어3. 태양광 비행기, 초경량 소재를 만나다 ★도움황승재(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연구본부 ... ...
- [특집] 아이디어2. 생체모방 디자인을 더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비행기에 생체모방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는 지금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답니다. 올해 1월,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팀은 비둘기의 날개 움직임을 모방해서 만든 비행기, ‘피죤봇’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했어요.비둘기는 4개의 뼈와 20개의 깃털로 이루어진 날개 두 개를 가지고 있어요. 날개뼈를 ... ...
- [특집] 아이디어3. 태양광 비행기, 초경량 소재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날개 디자인까지 고민해 보았으니, 이제 마지막 단계가 남았네요. ‘무슨 재료로 만들 것인가?’말이에요. 이것도 모두 최첨단 재료들을 엄선했답니다. 현대 과학으로 만든 가볍고 튼튼한 소재는 무엇일까요? 비행기는 가벼울수록 비행에 유리해요. 비행기를 띄우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적게 들 ... ...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 100만 분의 1g을 나타내는 단위.* 킬로그램 원기 : 킬로그램의 표준이 되는 금속 기구. 1kg은 130년 간 킬로그램 원기의 질량으로 정의되다가, 지난 해 플랑크 상수를 기준으로 재정의되었다 ... ...
- [기획] 3장. 더 정확한 1kg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참여하러 직접 프랑스를 다녀오셨다고요?그렇습니다. 우리나라가 보관하고 있는 111번 원기와 우리나라 키블 저울로 측정한 수치를 가지고 올해 2월, 프랑스의 국제 비교에 참여했어요. Q 질량을 잰 원기를 직접 가지고 가셨군요?맞아요. 원기는 한 번 잃으면 복원할 수 없는 소중한 물건이라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벤져스 : 엔드게임 속 CG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여름이니까 납량특집) 웅하! 얼마 전에 스마트폰으로 신나게 과학 영상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서늘한 느낌이 드는게 아니겠소? 그러다 문득 스마트폰 화면 위쪽을 쳐다보는 순간…! 와이파이가 안 켜져 있다는 걸 깨달았소! 끄아아악!내 데이터…. 저는 영화를 보통 집에서 많이 봐요. 영화관 ... ...
- [지구사랑탐사대] 코로나19에도 새는 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집은 벌써 몇 년 째 제비가 찾아와 둥지를 틀고 알을 낳는 곳”이라고 설명했어요. 6월은 1차 번식을 마치는 시기로 이날 둥지 안에는 4개의 알이 들어 있었어요. 알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대원들은 정다미 연구원의 지도 아래 셀카봉과 거울을 활용해 안전하게 둥지 안을 관찰했답니다. ... ...
이전3613623633643653663673683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