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뉴스
"
특정
"(으)로 총 5,40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 우림의 가뭄 막는 숨은 공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동안 말레이시아 보르네오 열대 우림에서 흰개미의 활동을 추적 관찰했다. 실험적으로
특정
구역에는 흰개미가 오갈 수 없도록 막고 흰개미가 있는 구역과 비교했다. 그 결과 흰개미가 활동을 하는 구역은 가뭄에도 불구하고 잎의 분해와 영양소 순환, 토양 수분, 모종 생존률이 높았다. 이런 ... ...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 둥근 지구 바닷길 찾는 항법장치로 세계 여행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위성을 기준으로 원을 그려 여러 개의 위성이 그리는 원이 겹치는 지점을 위치로
특정
하기에 삼차원 공간에서 위치를 정하려면 최소 세 개의 위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위성의 전파가 닿지 않는 곳이 생긴다. 이 때문에 전 세계에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24개의 위성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
2019.01.12
음모론은 일본 관동대지진 때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는 소문처럼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를 확산하거나 백신에 대한 음모론처럼 공중보건을 크게 위협하기도 해서 어떤 사람들이 이러한 음모론에 유독 취약한지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사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에 의하면 ... ...
100만년전 한반도 호랑이의 첫 조상이 갈라졌다
과학동아
l
2019.01.12
다양한 곳에 적응한 고양잇과 동물의 유전자를 분석해 비교하면 실험을 하지 않고도
특정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적인 원인을 찾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 가령 저산소증은 흔히 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졌지만 설표범은 산소가 적은 고산지대에 완벽히 적응한 개체다. 따라서 다른 고양잇과 ... ...
대덕특구에 신생 벤처기업 전용 펀드 조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기술사업화 플랫폼 구축 등에 총 734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강소특구는 정부가
특정
지역의 역동성 제고와 경제 활성화 등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다. 연구소, 대학 등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2㎢ 내외의 지역에서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서비스를 자유롭게 실증할 수 있도록 규제를 ... ...
원안위, 방사선 기준치 초과 ‘하이젠 온수매트’에 뒤늦은 수거명령
2019.01.11
밝혔다. 한편 원안위는 대진침대 부적합 매트리스 29종의 모델 가운데 13종의 모델이
특정
기간 동안 모나자이트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부적합 매트리스에 대한 처리명령 일부를 정정하기로 했다 ... ...
이진형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뇌회로도 풀어 뇌전증·치매 잡겠다"
연합뉴스
l
2019.01.11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뇌 회로도는 '완성'의 개념이라기보다
특정
부분이 고장 났을 때 질환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예컨대 뇌전증 환자의 경우 외형적으로 보이는 증상이나 상담이 아닌 환자의 뇌를 분석해 가장 적절한 ... ...
성가신 모기 ‘산아제한’으로 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넣은 뒤, 이 유전자가 후대에 군집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해 결국 멸종시키는 전략이다.
특정
유전자의 빈도를 인위적으로 높이는 이 기술을 ‘유전자 드라이브’라고 부른다. 원래 암수가 만나 자손을 남길 때 한 개체에 등장한 새로운 유전적 변이가 다음 세대에 전달될 확률은 절반이다. ... ...
줄기세포 배양 과정 이미지로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세포막에서 국소접착인산화효소와 칼슘이온의 상호작용을 확인했다. 두 신호물질은
특정
위치에 동시에 활성화돼 있으며 국소접착인산화효소에 의해 칼슘이온 활성이 조절된다는 사실도 밝혔다. 김태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 이식에서 발생하는 세포접착의 난제를 해결하는 데 ... ...
불임 유발 ‘자궁내막증’ 원인 알고보니 ‘후성유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등이 있다. 연구팀은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3(HDAC3)’이 유전자의 구조를 조절해
특정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후성유전학 조절을 통해 자궁내막증을 일으키는 과정을 밝혀냈다. HDAC3는 대표적인 후성유전학적 조절인자다. 연구팀은 자궁내막증과 자궁 섬유화가 진행될 때 HDAC3가 현저히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