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스페셜
"
가능성
"(으)로 총 3,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면역특성 역으로 이용…독감 백신 맞으면 더 위험?
채널A
l
2013.11.01
교수] 한 번 감염이 된 사람은 오히려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이 증가될
가능성
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입니다. 면역세포가 가진 특성의 허를 찌르는 바이러스의 이런 전략은 20년 전 동남아에서 8000명을 사망에 이르게 한 뎅기열 바이러스의 침투방법과도 유사합니다. [인터뷰 :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평소 알레르기 증상이 없는 사람들은 몸에 독소가 많이 쌓여 그로인한 질병에 걸릴
가능성
이 높다는 결론에 자연스럽게 이르게 된다. 과연 그럴까. 미국 코넬대의 저명한 신경생물학자 폴 셔먼과 아내인 진화생물학자 자넷 쉘먼-셔먼은 1953년 이후의 논문을 뒤져 알레르기와 암의 관계를 조사했다.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탐사활동이 눈에 띄게 늘어난 까닭도, 빙산이 줄어든 상황에서 북극해의 활용
가능성
을 찾아보려는 목적도 있지만 영해권 확보를 위한 물밑작업으로 해양학적, 지질학적 근거를 확보하려는 의도도 크다. ‘기초과학을 왜 지원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흔히들 ‘기초과학은 다른 과학의 근간이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네트워크 과학은 네이게이션에 가깝다. 인과관계를 직접 알려주지는 않지만, 인과관계의
가능성
이 높은 곳은 알려줄 수 있다. 네트워크 과학과 이를 기반으로 한 ‘빅 데이터’의 역할도 딱 이 수준이다. ‘42’를 만들려는 시도가 다 그렇지만, 네트워크 과학이 궁극적인 해답을 제시하리라는 양 ... ...
[채널A]태풍 다나스 지나갔지만…가을 태풍 2~4개 추가 발생
가능성
채널A
l
2013.10.10
차가운 대륙성 고기압이 형성될 시기인 만큼 태풍이 고기압에 가로막혀 우리나라로 향할
가능성
은 적을 걸로 전망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31009/58109309/1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김빛내리 교수. 김 교수는 한국에서 RNA 연구가 거의 없던 시절,마이크로 RNA 연구의
가능성
을 예견하고 과감하게 도전했다. 현재 마이크로 RNA는 유전정보 발현 조절의 핵심 분야로로 주목받고 있다" style="padding: 0px; margin: 0px; border: 0px none;" />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공제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동향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항생물질 후보로 페니실린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페니실린은 지금까지도 잊힌 채로 있을
가능성
이 있다. 페니실린을 발견했지만 더 이상 연구하지 않았던 플레밍은 체인과 플로리 덕분에 노벨상을 받았고 오늘날 페니실린에 대한 모든 공을 독차지하고 있다. 1944년 옥스퍼드대 연구실에서 포즈를 ... ...
[채널A]‘꿈의 신소재’ 온실가스 잡는다…그래핀 필터 첫 개발
채널A
l
2013.10.06
제철소 등에 그래핀 필터를 사용할 수 있을 걸로 전망했습니다. 그래핀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
을 제시한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저널 사이언스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culture/3/04/20131004/58013330/1 ... ...
[채널A] 태풍 ‘피토’, 한반도 비켜 중국으로 선회
가능성
채널A
l
2013.10.04
중국 상하이 부근 해안쪽으로 치우쳐 북상하면서 우리나라는 해상 쪽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
이 있습니다. 가을에 발생하는 태풍은 대부분 일본 동쪽으로 진행하는데, 이번 태풍이 이례적으로 서쪽으로 치우쳐 이동하고 있습니다. 한반도에 강한 고기압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고기압은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넘기 때문에 수십 테슬라 정도의 자기장으로도 호프스태터 나비를 볼 수 있는
가능성
이 열린 것. 실제 실험결과 나비는 볼 수 없었지만 전자의 에너지가 프랙탈 패턴을 보인다는 사실은 확인했다. 이에 대해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의 저자인 미국 MIT의 파블로 자릴로-헤레로 교수는 “우리는 ... ...
이전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