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이 사고로 1명의 근로자가 사망했고 1백명이 부상당했다. 이상에서 든 사고는 모두 큰
규모
의 것이며 사소한 사고들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우리나라만 해도 78~85년 사이 1백22건의 원자로 발전정지 사고가 일어났다.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은 대부분의 큰 사고가 사소한 실수로 시작되며 잘못된 조작,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유일하게 '생물시험 인공호'(Biotest basin)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5개의 섬을 대
규모
제방으로 연결한 넓은 1㎢의 호수로서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열폐수와 방사능이 인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설치했다. 이 인공호는 좁은 실험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게 한다. ... ...
기상의 인공조절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소산시키기 어렵다. 낙뢰억제적란운속에 AgI를 많이 뿌리면 빙정이 많이 생겨서 작은
규모
의 전기방전을 많이 일으킨다. 이 방전이 전하의 축적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수많은 금속침을 뿌려서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전하의 축적을 방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의 ... ...
컴퓨터 사회를 해석하는 필수 도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개발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시스템공학은 1950년대 미국에서 주로 국방이나 우주관계의
규모
가 큰 시스템을 개발하는데서 시작되었으며 그 후로 기업에 있어서 생산 재고처리시스템과 같은 소형시스템이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환경오염문제 도시문제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기술의 자랑거리가 되었다. 그러나 그 뒤 새로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는 단순히 이 최초의
규모
를 늘려서 설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바꿔 말해서 위험도도 그만큼 늘어 났다는 것을 말한다. 더우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새로 건설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위치를 소련의 유럽쪽 주요도시 ... ...
도시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오염된 대기를 정화시키는데 큰 구실을 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저 3백×3백m 이상의
규모
를 갖는 공원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또한 건축방법 건축재료 및 토목공학적 기술을 충분히 활용하면 도시의 미기후(微氣侯)를 도시활동에 유리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
기아 중앙기술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앞으로도 계속 늘려 나갈것입니다" 정남학 소장은 이 연구소의 운영경과와 투자
규모
를 이렇게 설명하면서 연구소의 기구정비와 투자방향 설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신 시설기재로는 저공해연구를 위한 배기가스측정시스템, 금속재료 연구를 위한 엑스레이 테스터, 바디 개발을 위한 ... ...
백화점에도 자동화의 물결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과학적인 관리시스템을 요구하기 시작하였고, 앞으로 예상되는 유통기업의 대
규모
화와 기능의 전문화는 유통관리시스템과 함께 전문 유통인의 수요를 급증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근대화 추세는 시대적으로 볼 때에도 86, 88 국제 대회와 경제사회의 선진화를 추구하는 정책에 힘입어 더욱 ... ...
컴퓨터 교실⑤ 하드웨어의 사령탑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강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자칫 잘못하면 보완장치의 설치로 인하여 커널의
규모
가 시스템 전체의 문제시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영체제 설계시 충분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시스템 보안을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운영체제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기 ... ...
미국의 KH11 첩보위성의 현장촬영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미국의 정부소식통은 '체르노빌'사고에 대해서 '원자로의 냉각장치 고장이 원인이며 대
규모
의 폭발에까지 이른 것이 분명하다. 그 결과 발전소의 지붕과 벽이 파괴되었다'고 발표했다. 미국방성관리들은 얘기하길 꺼리지만 우주 전문가들은 이 정보가 첩보위성을 통해 얻은 것이라고 했다.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