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를 든 흙기사! 현해남교수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농사직설’이라는 농사책에 좋은 흙과 나쁜 흙을 구별하는 방법을 기록했는데, 맛을 보고 단맛이 나면 좋은 흙이고 쓴맛이 나면 나쁜 흙이라는 거예요. 그런데 이 방법은 과학적으로도 맞는 말이에요. 나쁜 흙은 미생물이 죽어서 물질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쓴맛이 나거든요. 요즘은 맛을 ... ...
- 우주휴가 즐기는 네 가지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더! 앞으로 우주여행을가게 되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 한번 상상해 보세요. 어떤 것을 보고 싶은지, 즐기고 싶은지 여행과 관련된 것이면 무엇이든지요. 이렇게 우주여행을 갈 수 있는 시대가 오면 우주여행과 관련된 직업도 많이 생길 거예요. 우주선파일럿, 우주호텔매니저, 우주식품요리사 등 이런 ... ...
- 나비가 너울너울 ,2012 예천 곤충바이오엑스포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방법보다 더 크고 맛있는 열매가 열린단다. 이것 봐!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많이 보고 자란 호박벌이다.응, 수컷에만 침이 있어 암컷은 만질 수 있는 벌 말이지?예천 곤충연구소에서는 호박벌과 머리뿔가위벌을 길러서 농가에 보급해요. 이 벌들이 수술에 있는 꽃가루를 암술로 옮겨 꽃이 열매를 ... ...
- 황제펭권 펭이와 솜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대단하지? 뭐? 아직도 우리에 대해 궁금한 것이 많다고? 엥? 우리의 귀여운 모습도 더 보고 싶다고? 그렇다면 2012년 8월 9일에 개봉하는 영화 ‘황제펭귄 펭이와 솜이’를 봐! 영화를 통해 3D 입체로 우리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으니까 말이야.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250명에겐 특별히 ... ...
- 앗, 귀신의 장난인가? 춤추는 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5호
- 가장 좋아한다고요. 중력은 지구가 물체를 당기는 힘이잖아요.뉴턴이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을 생각해 냈대요.아주 잘 아는 구나. 만유인력은 두 물체가 서로 당기는 힘을 말한단다. 지구와 상진이도 만유인력 때문에 서로 당기고 있지. 이 중 지구가 지구 '중심'으로 물체를 당기는 힘을 ... ...
- 별이 빛나는 사량도 천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STEP ❷천체 만들기 체험학습 3종 세트보기만 하는 건 재미없어요. 직접 뭔가를 만들어 보고 싶은데….그래서 준비했죠. 야광 별자리 지도와 회전 별자리판, 앙부일구에 천체 망원경 조립까지!야광 별자리 지도 만들기북극성이 중심에 놓인 검은 색 배경의 별자리 지도에 야광풀을 조금씩 찍어 보렴. ... ...
- 어메이징 모기맨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모기약’이 없을까 오랜 시간 연구했어요. 외국 논문도 찾아보고, 직접 실험을 해서 정보를 모으기도 하면서 그동안 수 많은 모기약과 방제장비를 만들어 냈답니다.장 팀장님은 우리가 쓰는 모기약이 대부분 화학 살충제라 건강에 좋지 않다고 설명했어요. 특히 밤에 잘 때 ... ...
- 화장품 모델 ‘바르나 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 우웩~”문제 3썰렁홈즈의 얼굴에 많은 립스틱 자국이 생겼다. 업새블라의 입술을 잘 보고 딱 맞는 입술 자국 두 개가 어떤 것인지 찾아보자. 정답과 해설1. 전구를 오래 켜면 뜨거워지는 성질을 이용한다. 일단 1번 스위치를 켠 채 10분간 둔다. 그런 다음,1번 스위치를 끄고, 2번 스위치만 켠 다음 ... ...
- 돼지 심장을 가진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아주 원시적인 종부터 진화가 많이 된 종까지 모두 포함하고 있어, 과학자들이 우리를 보고 진화와 행동양식을 연구하기도 해요.어떻게 돼지의 심장을 갖게 됐니?심장이나 콩팥이 망가져 새 장기를 이식받으려는 환자는 많지만 장기는 부족해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다른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는 ... ...
- 우산 닮아 우산나물, 접시 닮아 접시꽃 재미있는 풀 이름 짓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4호
- 이름을 공부한 건가요?풀을 연구하기 위해서죠. 국가식물목록위원회에 풀의 이름을 처음 보고한 사람에게 그 풀을 가장 먼저연구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주거든요.엥? 풀을 연구한다고요? 이런 풀도 쓸 데가 있나요?하하, 보통 주위의 풀을 쓸모없는 잡초라고 생각하곤 하죠. 심지어 해롭다고 ... ...
이전3623633643653663673683693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