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800년 이전만 해도 인류의 소득과 식량 증가는 인구 증가에 번번이 가로막혔다. 부의 축적
부분
에서 사실상 석기 시대나 크게 다를 바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산업혁명은 맬서스의 저주를 단번에 풀어 버렸다. GMO,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가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논술 점수를 반영한 후의 순위가 평균적으로 30~40%, 많게는 50% 정도 바뀐다.이과 학생들 대
부분
이 의학 계열을 진로로 삼고 있다.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해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가?이공계 기피는 IMF 경제위기 이후로 나타난 사회적 현상이다. 공대를 비롯해 특히 기초과학 분야는 인재가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리보자임이란 용어를 쓰기로 했다.”추가 연구 결과, 잘린 RNA 조각에 촉매활성을 갖는
부분
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단백질 효소처럼 특정 분자의 반응이 쉽게 일어나게 하는 정교한 입체구조를 갖는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체크 교수팀의 논문은 생명과학자들 사이에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할 땐 이것을 부수고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날 도전한 리지는 가장 두꺼운
부분
의 두께가 7m이고 그 위에 40cm~1.8m의 눈이 쌓여 있었다. 아라온호는 리지에 뱃머리를 힘차게 6번 박치기해 리지를 통과했다. 아라온호는 이 과정에서 단위면적당 최대 59.2MPa(메가파스칼, 1MPa=106Pa)의 힘을 받았다. 배가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창립을 주도하며 한국 천문학 발전과 함께했다. 조 박사가 무엇보다 기여한
부분
은 과학 대중화였다. 시원한 웃음과 카랑카랑한 목소리에 풍부한 지식을 갖춘 조 박사는 방송을 누비며 천문학을 포함한 과학 전반을 알기 쉽게 대중들에게 전달했다. 국내 과학자로는 가장 많은 177권의 책을 펴내고 30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소변과 같은 자연원료를 투명잉크로 편지를 썼다. 이러한 편지를 불에 쬐면 잉크가 묻은
부분
만 거뭇거뭇해져서 글씨를 읽을 수 있었다. 단순한 자연 원료를 사용하던 스테가노그래피는 연금술이 발전한 중세에와서 화학 반응을 이용한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황금벌레’에 나오는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때문이다.“반사경을 깎는 장치에 프로그래밍 오류가 있었어요. 음수부호가 들어갈
부분
에 양수부호가 들어간 겁니다. 오류 때문에 반사경의 곡면을 측정하는 과정에 문제가 생긴 겁니다.”우주공간에는 대기가 없어 천체의 상은 반사경 성능만큼 좋게 맺힌다. 그런데 허블우주망원경의 반사경에 ... ...
감쪽같이 위장한 ‘움직이는 나뭇잎’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돋은 성체로 자란다. 대나무 가지에 가시 돋친 잎들이 뭉친 것처럼 생겼다.다리마다 끝
부분
에는 튼튼한 발톱이 달려 있어 식물에 단단히 들러붙을 수 있다. 사실 큰가시대벌레가 식물에 매달리는 이유는 잎사귀대벌레처럼 잎을 먹이로 삼기 때문이다. 주머니쥐 같은 천적이 나타나면 큰가시대벌레는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해야 한다.변 원장은 “척추측만증으로 내원하는 환자 대
부분
이 청소년”이라며 “학업도 중요하지만 몸과 마음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적절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의자에 앉아 공부할 때는 엉덩이를 깊숙이 밀어 ... ...
알록달록 전통매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바로 위에 올 매듭이지만, 조금 여유를 두고 끈을 잡는다. 그런 다음 매듭의 몸이 될
부분
에서 끈을 십자 모양으로 벌려 고를 만들고(㉡, ㉣), 가운뎃손가락을 끈 위로 놓고 눌러 잡는다. 손가락들의 위치가 중요하니 사진을 보고 잘 따라하자.❷ ㉠가닥을 펜던트 쪽으로(사진상 오른쪽) 넘긴다. 만일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