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가 있는 곳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밝게 하거나 때아닌 서리가 내릴 경우 경작지역을 따뜻하게 할 수 있는 소규모 '달'을
하늘
에 만드는 셈이다. 이 사업은 1990년까지는 실험적으로 수행될 것 같다.이런 주목할만한 계획에서 만일 소련이 진전을 이룩한다면, 미국은 당연히 태양력과 우주에 있는 반사경의 군사적 응용가능성에 대해 ... ...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세계에는 끊임없이 밀려 닥치는 산더미같은 파도 밖에 아무것도 없었다. 우리에겐 이젠
하늘
도 없고 별도 태양도 우주도 없다. 다만 온통 찌푸린 먹구름과 소용돌이 치는 성난 바다뿐이다" 태풍은 어디에서 왜 생기는가통계적으로 보면 태풍은 북태평양 남서쪽 해상(북위 5도~25도, 동경 120도~160도)의 ... ...
정상 우주론의 창시자 프레드 호일 FRED FOYLE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그의 주장은 떳떳하지 못하다"는 것이 호일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1965년 천문학자들은
하늘
을 그득 채운 희미한 전파소음을 발견하고 이것은 빅 뱅의 메아리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온세계의 전파 안테나를 통해 들려온 이 소리는 정상우주론의 종말을 고하는 조종(弔鍾)의 소리였다. 호일은 그동안 ... ...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녹는 깊이는 80~90㎝밖에 안된다. 이따금 천지에서는 거대한 물기둥이 뽀얀 안개와 함께
하늘
로 솟구쳐 오르는 돌개바람현상도 일어난다. 섭씨 73도의 온천수 솟아 백두산 천지의 서남쪽 기슭에는 섭씨 73도에 달하는 고온의 온천수가 솟아나고 있다. 최고봉인 병사봉 아래 천지의 물가장자리를 ... ...
컴퓨터시대의 한글 한글의 과학성 재조명되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46년이 된다.처음 반포된 한글은 음성기관의 모양과 그 움직임이 형태를 본뜬 자음 17자와
하늘
땅 사람을 중심으로 모양을 배치했다는 모음 11자가 기본이었으며 도합 28개의 문자를 창제하였다.현재는 자음 중에서 ㅇ ㅎ △과 모음중에서 ㆍ를 쓰지않게 되어 24자의 한글만 갖게 되었고 이러한 자음과 ... ...
여기는 땅의 끝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틀림없다. 그러나 다시 서쪽의 대양위로 눈을 돌리면 저 멀리 수평선 위에는 밝고 푸른
하늘
이 펼쳐져 나가기 시작하고 있다. 얼음의 나라 이런 빙상 위의 눈(雪)은 강수량으로 환산했을때 연간 6천㎜에 이른다. 그반 이상이 녹지 않은채 축적되고 이윽고 자체의 무게로 압축되어 얼음이 된다.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다람쥐 청설모 멧토끼 노루 고라니 멧돼지 너구리 오소리 대륙 목도리담비 족제비
하늘
다람쥐 살기 수달 고슴도치 두더쥐 땃쥐 곰쥐 산양 등 줄쥐 집쥐 관박쥐 집박쥐 등 22종. 휴전선 부근에 큰 숲이 있을 수 없고 곳곳에 지뢰가 매설된 것으로 미루어 많은 종류이며 어느 지역에 비해서도 숫자로도 ... ...
아직도 정확히 알려지지 않는
하늘
의 전기현상 규명위해 인공 번개를 만들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과거의 실험을 통해 NASA측은 '애틀러스 센타우어'로케트 사고는 NASA기상관계자들이
하늘
의 전기현상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일어난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번개ㆍ벼락의 조기 경보 NASA의 연구담당책임자인 '재프리스'씨는 "우리는 조기경보에 대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번 실험을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등을 꼽을 수 있다. 북두칠성은 초저녁부터 북서쪽
하늘
에 떠있으며 반대편 북동쪽
하늘
엔 W자모양의 '카시오페아'자리가 있다. 별자리는 지구의 자전에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기 때문에 사진기를 활용하면 이들의 움직임을 사진에 담을 수 있다. 우선 사진기를 받침대에 고정시킨뒤 북극성을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인한 뜨거운 가스는 아직도 우주공간을 향해 맹렬히 내뿜어지고 있다. 겨울밤 남쪽
하늘
에서 볼 수 있는 황소자리의 게성운은 바로 이 초신성이 폭발한 잔해이다. 우리나라 중국 등은 초신성 뿐 아니라 신성과 혜성까지도 모조리 기록했음에 비해 유럽은 무관심한 상태였다. 유럽에서 최초로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