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뉴스
"
부족
"(으)로 총 5,15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
2018.04.28
사고방식과, 자신이 힘이 없고 가난한 건 다 내가 열심히 하지 않아서, 내 능력이
부족
해서 그렇다는 자기 비난이 한 예다. 언뜻 생각하면 본인이 불이익을 받고 있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에 순응해 엄연한 사회적 문제를 ‘내 탓’으로 돌리는 것에 무슨 이득이 있을까 싶다. 그들은 불평등의 정착에 ... ...
기술력 최고인 남한, 광물자원 풍부한 북한
과학동아
l
2018.04.26
확보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고 단장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
한 광물종을 북한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북한의 원료 광물자원으로 한반도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동북아 자원벨트의 중심국으로 우뚝 설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동반된다. 이 뉴런만 골라 죽이는 약물을 처리하자 생쥐는 평소에는 물론이고 산소
부족
(공기 중 산소 농도 8%) 상황에서도 한숨을 거의 쉬지 않았다. 그러나 호흡 횟수는 분당 평균 150회에서 230회로 많아진다. 즉 숨이 빨라질 뿐 깊어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사람에서도 한숨을 쉬는 ... ...
‘바다의 유목민’ 바자우 족이 숨 오래 참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신체적 적응을 한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바자우 족과 비슷하게 산소가
부족
한 환경에 적응한 인류로 티베트 고산 지역 사람들이 있다. 2010년부터 이뤄진 여러 연구에서, 저산소증을 견디기 위한 다양한 유전적 변이가 확인됐다. 필리핀 남부 바자우 족의 수상가옥. -사진 제공 Travelbusy ... ...
[과학사진관] 나는 믿어요. 지금 흘리는 눈물방울마다 새 꽃이 피어날 것을
동아사이언스
l
2018.04.20
만들어 내는 기관인 꽃이나 어린잎에서 그 피해가 더욱 도드라진다. 위의 사진은 칼슘이
부족
한 환경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어린잎의 죽음을 보여준다. 하얗게 백화(白化)되어 죽어가는 어린잎의 모습이 마치 한 방울의 눈물 같다. 작가의 TIP 칼슘에 대해서 식물은 칼슘을 스스로 합성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필자는 지난해 이맘때 위산과다 증상이 재발해 두 달 넘게 고생했다. 겨울 동안 운동
부족
에 감기몸살로 밥을 제대로 못 먹었더니 몸무게가 저체중 범주(체질량지수(BMI) 18.5 미만)로 떨어져 급한 마음에 식사량을 좀 늘렸다가 일주일 만에 탈이 난 것이다. 매일 아침 마즙을 갈아먹고 양배추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온난화로 식물 종 다양해졌다?…“대규모 멸종 임박 신호”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생존 경쟁이 그만큼 치열해지는데, 아직 완전히 기존 서식 종을 몰아내기에는 개체 수가
부족
해 종이 잠시 늘어난 것이라는 설명이다. 스틴바우어 교수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식물 종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현상은 대규모 멸종이 매우 임박했다는 점을 암시하는 ... ...
[테마영화] 극한의 상황에서 살아남기
2018.04.14
것. 동료들 대부분이 목숨을 잃고 라이언은 광대한 우주에 홀로 남게 된다. 산소는
부족
하고,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얼마 전까지 슬픔 속에서 죽음을 생각하던 라이언은 살기 위해 지구로 돌아가기로 마음을 먹는다. 이 영화에는 ‘살기 위해 우주에서 지구로 돌아간다’는 한 줄 시놉시스 ... ...
이성 유혹하는 화려한 외모...종의 몰락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그는 “자신을 꾸며 생식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종은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부족
해 멸종위험이 높을 것”이라며 “현대 종들의 보존에도 이와 같은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신경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성적인 수면
부족
이 학습과 기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 “해마에서 신경생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것도 신경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항우울제가 효과가 있는 건 ... ...
이전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