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3화 미꾸라지의 수열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무엇보다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은 마음이 커져갔다. 찬이의 갈증을 눈치챈 건 순실이 누나였다.“찬이야, 내일부터 누나네 김밥집에 나오지 않을래?”순실이 누나는 지하상가 끄트머리에서 작은 김밥집을 하고 있었다. 마침 일손도 부족했고 찬이도 그곳에서 일하면 조금 숨통이 트이지 ... ...
- 게임보다 더 재밌는 넥슨컴퓨터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컴퓨터와 관련 물건들이 총 5000여 점이나 수집돼 있거든요.그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건 나무 컴퓨터 ‘Apple 1’이었어요. Apple 1은 1976년 지금의 ‘애플’사인 ‘애플 컴퓨터 컴퍼니’를 세운 스티브 워즈니악이 설계하고 손으로 직접 만든 컴퓨터예요. 애플사의 컴퓨터와 노트북의 시초가 된 첫 ... ...
- [지식] 수학의 소금, 피타고라스 정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튼튼한 뿌리, 피타고라스의 정리피타고라스가 단순히 신비로운 지식을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친 것은 아닙니다. 피타고라스는 직각삼각형에 숨겨진 진리를 하나의 명 ... 방식에 얼만큼 큰 영향을 줬는지 평소에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가끔 둘의 고마움을 떠올려 보는 건 어떨까요 ... ...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바야흐로 ‘먹방’의 시대가 가고 ‘쿡방’의 시대가 찾아왔다. 소문난 식당에 찾아가 맛있는 음식을 먹는 모습은 이제 식상하다. 집에 있는 냉장고를 그대로 가져와 그 안에 있는 ... 전문 셰프처럼, 혹은 전문 셰프보다 더 맛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어 보는 건 어떨까 ...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겨울의 끝자락,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이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이하 무한상상실)을 찾았다. 무한상상실은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 수 있는 공간이다. 전문가의 맞춤형 ... 기다리고 있다. 나만의 무언가를 만들고 싶다면, 지금 당장 무한상상실을 방문해 보는 건 어떨까 ... ...
- PART1. 3D 프린터,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새로운 재료들이 3D 프린팅에 쓰이는 추세”라며 “한번 만들어진 뒤 시간이나 환경조건에 맞게 모양이 변하는 물체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말한 기술은 바로 2013년 세상에 처음 공개된 뒤, 대중과 언론의 집중적인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2년 사이 크게 성장한 ‘4D 프린팅’ 기술이다. 3D ... ...
- PART1. 고교생 100명이 묻고, 공대생이 답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남, 포스텍 화학공학과 09학번, 2013년 졸업)여자라서 남학생들이 무조건 엄청 잘해주는 건 아니에요. 아, 동아리에 지원할 때는 여성이 좀 유리하죠. 탁구 동아리를 예로 들면 탁구를 정말 잘 치는 남학생과 탁구 라켓을 잡아본 적도 없는 여학생이 있으면 여학생을 뽑거든요(그게 접니다, 하하). ... ...
- [Photo] 외로운 왕, 늑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태초에 왕이 있었다. 대륙을 발 아래에 둔 채 산하를 누비고, 생명이 있는 것들을 두루 다스리는 생태계의 왕이었다. 서슬이 퍼런 무서운 지배자였지만 한편 ... 얼어붙은 강가를 거닐고 있다. 야생에서, 생존은 오로지 스스로의 몫이다(➋).] [몽골의 건물 입구에 늑대 가죽이 걸려 있다(➌). ...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진화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그렇게 된 것뿐”이라고 말했다. “바이러스를 알게 된 건 겨우 100년”최근에는 전쟁만 좋아하는 줄 알았던 RNA 바이러스 중에도 휴전 상태, 즉 지속감염을 하는 종류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 서두에 언급한 쥐 노로바이러스도 지속감염형 RNA 바이러스다. 사실 ... ...
- [1학급 1과학동아 캠페인 안내] 신나는 과학 꿈꾸는 교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을 키우는 데 ‘놀이’만한 공부는 없습니다. 이제 신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놀이로 ‘과학’을 선물하는 건 어떨까요. 친구들과 함께 생각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호기심이 생겨납니다. 학생들의 꿈이 자랍니다.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