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정신 건강에 해롭다" 주장 거세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날마다 벌어지고 있었던 것이다.그래픽 게임인 경우에는 꽃이나 인물 등 모든 사물들이
그림
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이를 보고 느끼는 소감이나 감각은 이용자 모두가 거의 비슷하다.그러나 텍스트로 진행되는 머드는 모든 상황과 행동이 문장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마치 소설을 읽는 것처럼, 이를 ... ...
온라인 멀티미디어 통신 천리안 매직콜 서비스 개시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그림
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직접 해당 정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초기 화면의
그림
은 만화가 이현세씨 작품이다.천리안 매직콜의 특징은 28.8k급 고속 전용망을 통해 기존 천리안 서비스가 제공하던 1천7백여종의 각종 서비스는 물론, '온라인 노래방' '멀티미디어 전자우편' '온라인 전자잡지' ... ...
1. CT·암치료·비파괴검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그림
자만 보고 사물의 확실한 모습을 알아낼 수 없다. 그러나 여러 방향에서 빛을 쪼여
그림
자를 여러개 만들고 이를 컴퓨터로 합성한다면 실제에 가까운 모습을 얻을 수 있다.보통 CT사진은 척추와 수직인 방향의 단면 영상을 얻기 때문에 단층촬영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 보통 하나의 단층화면을 ... ...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촬영한 것이다. 테는 10% 가량 밝아졌고 위성레아는 토성 바로 동쪽에서 토성 남반구에
그림
자를 떨어뜨리고 있다. 한편 타원 모양의 구조는 토성의 자전으로 인해 서쪽으로 움직였으며 가느다랗게 보이는 선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것은 지난 1990년 토성 대기에 나타났던 폭풍이 남긴 흔적이다 ... ...
3. 생체분자 3차원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제작하거나 또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으로 3차원적 형상을 만들어 육안으로 분수 있다(
그림
1).이 글에서는 X선을 사용하여 생체 고분자의 3차 구조를 밝히는 방법과 분자구조의 정보가 생명과학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X선 결정학X선을 이용해서 분자구조를 밝히려면 ... ...
4. 동양서는 2000년전 발견, 질병 치료에 이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하여 생물에너지가 유주하는 성쇠의 개일리듬을 나타낸다고 보았다.자오운기법을
그림
으로 나타내면 (
그림
1)과 같다. 자오의 대각선을 중심으로 하여 1일24시의 생물에너지의 성쇠를 나타내는 것이다. 자오운기법에 의하면 인간의 오장육부의 병은 활동이 최고에 이르는 시각에 뚜렷한 병세를 ... ...
통신 프로그램 '이야기' 제작자 큰사람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지금의 회사에 이르기까지 고집스럽게 '우리 것'을 지키려 해왔다.프로그램을 풀
그림
, 마우스를 다람쥐라 부르는 등 외국어 투성이인 컴퓨터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은 이들이 사명감을 갖고 추진하는 일이다. 이들이 운영하는 PC 통신의 포럼 메뉴에는 컴퓨터 용어를 우리말로 바꾸는 방을 ... ...
1. 24시간 주기, 밤과 낮길이 정확하게 감지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있다.1875년부터 1915년에 이르기까지 페퍼(Pfeffer)는 강낭콩을 실험재료로 하여 연구했다. (
그림
3)에서는 콩과식물의 수면운동을 볼 수 있다.강낭콩은 밤 10시에 잠을 자기 시작하여 아침 6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또 도꼬마리는 밤 9시에 잠을 자기 시작하여 낮 2시가 되면 잠을 깬다. 분명히 ... ...
생체리듬과 연령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간격으로 명-명에서 암-암의 조건으로 옮겨 주었다.실험 결과 발생 후기인 1백31.5시간(
그림
의 화살표) 이후부터 부화리듬이 나타나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의문으로, 1)부화리듬을 지배하는 진동체가 발생의 어느 시기(1백31.5시간)까지 아직 분화하지 않았거나, 2)진동체는 존재하여도 ... ...
곤충의 생체시계는 어디에 있나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없다.곤충의 뇌에서 시신경과 직접 연결되는 부위로 뇌간부(PIC)가 있다. (
그림
6)의 뇌간부(
그림
의 사각형 부분)의 각 부분을 절제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부분적인 자유연속리듬이 존속하였다. 그러나 시신경간-전대뇌의 주엽과 시엽과를 연결하는 교(橋)의 부분을 절제한 결과 자유연속리듬이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