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태양의 고도가 높아지므로 낮 시간이 길어지고 태양 빛이 내리 쬐어 무더운 여름이 된다.
반대
방향으로 있을 때는 태양의 고도는 낮아져 태양이 낮게 뜨고 지므로 일조시간이 짧아지고 대지는 열을 적게 받아 추운 겨울이 찾아온다.태양의 고도가 계절마다 달라지는 것은 그림자의 길이를 비교해 알 ... ...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몸에 해로운 세균이 과도하게 성장해 소화 흡수를 방해하므로 설사가 일어난다.
반대
로 장의 연동운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음식물이 장내에 오랫동안 머물지 못하고, 빠르게 지나가므로 소화와 흡수가 충분히 일어나지 못해 대변의 양과 수분함유량이 증가돼 설사가 일어난다. 수인성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새로운 행성의 궤도가 현재의 행성들의 궤도에 비해 매우 기울어져 있으며 공전 방향도
반대
라고 밝혔다. 이 행성은 태양계 외곽을 지나던 떠돌이 별이 태양의 중력에 포획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그러나 많은 천문학자들은 아직 회의적이다. “단지 두 그룹에서 같은 결과를 내놓았다고 해서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차이다. 즉 굴절-반사-반사-굴절의 과정을 겪으면서 색깔의 배열이 첫 번째 무지개와
반대
인 보라색이 위에 있는 무지개로 보인다.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는 무지개의 모양은 사실 무지개의 전부가 아닌 일부분이다. 어느 경우엔 1/4이고 많이 본다고 해도 1/2을 넘지 못한다. 그것은 바로 무지개의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는 의약계 역시 유전자 조각에 일일이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점에서 거센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최근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연합은 이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몇가지 타협안을 이끌어냈다. 핵심적인 사안은 ‘특정 질병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경우’ 유전자 조각에 대한 특허를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속에서 당신을 향해 달려오고 있던 중이었다.베타별로 돌아가 이번에는 안드로메다와
반대
쪽으로 삼각형자리에 숨어있는 M31의 자식 은하격인 바람개비라는 별명을 가진 M33을 찾아보자. 이 은하는 6.5등급의 나선 은하로 M31 다음으로 크지만, 표면 밝기가 낮아 도시 근교에서는 쌍안경으로 찾기가 ... ...
오목 거울의 진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초점거리의 2배보다 더 먼 곳에 두면 실상은 점점 작아지면서 거울 쪽으로 이동한다.
반대
로 상자를 거울 쪽으로 이동시키면, 즉 초점거리의 2배보다 가까운 곳에 두면 상은 점점 커지면서 관찰자 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작도로 확인할 수 있다.오목 거울에서 항상 실상만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
회충 헤모글로빈 산소 파괴하는 매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있으면 산화질소가 산소운반의 조절자 역할을 하지만, 회충의 헤모글로빈에서처럼 그
반대
쪽에 있으면 헤모글로빈은 산화질소를 이용해 산소를 분해시킨다는 것이다. 최근에 헤모글로빈의 다양한 기능들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효소활성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100% 예측은 불가능경험적으로 볼 때 여름에는 햇빛이 강하고 일조시간도 길며 겨울에는
반대
로 햇빛도 약하며 일조시간도 짧다. 또 적도지역으로 갈수록 여름철과 같이 강한 햇빛과 긴 일조시간을 가지며 극지방으로 갈수록 겨울과 같은 약한 햇빛과 짧은 일조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차이는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발견된 적이 없다. 이것은 많은 초식공룡들이 한꺼번에 죽어 발견되는 것과는 정
반대
의 현상이다. 따라서 최소한 큰 육식공룡은 혼자 생활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혼자 살아가는 것은 육식공룡에게 좋은 생존철학이다. 사냥터를 공유해 다른 놈의 배를 채워주며 자기의 몫을 줄일 필요가 없기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