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상
한 짝
대항자
반대자
대면
상대방
고대
d라이브러리
"
상대
"(으)로 총 4,22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뿐이다. 흰 부분은 주로 산악이나 크레이터 등 험한 지형이다. 이 부분들은 바다에 비해
상대
적으로 반사율이 높아 희게 보인다.바다의 이름은 '비의 바다''폭풍의 바다''위기의 바다' 등 좀 추상적인 편이지만 크레이터에는 인류사에 훌륭한 업적을 남긴 인명이 붙여져 있다. 달의 앞쪽면 바다와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휘어져 있음을 실제로 관측했는데 이는 중력과 기하학을 결부시킨 아인슈타인의
상대
성이론을 증명해주는 완벽한 증거가 되었다.칼루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이 5차원이며 이 5차원 공간의 측지선을 따라서 물체가 움직인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5차원 공간에서는 물체가 중력과 전자기의 힘을 ... ...
더 밝은 물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연구팀은 적외선 천문위성(IRAS)이 지난 1983년 발견한 희미한 적외선의 공급원이 되는
상대
를 밝은 빛속에서만 찾고 있었던 것이다.그런데 2년전 어느 관찰연구의 마지막 밤이었다. 연구진이 장비를 하나의 적외선 공급원에 정확히 맞추고 있다고 생각했었으나 다른 물체가 그들의 스펙트럼에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또는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초고층 건물은 건물의 폭에 비해 높이가 높기 때문에
상대
적으로 수평방향의 힘에 약하게 마련이다. 이때 옆에 있는 비슷한 높이의 건물과 서로 튼튼하게 연결해 주거나 또는 그런 형태로 건물을 지으면 건물의 흔들림이 훨씬 덜하고 전도에 대한 안전성이 크게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보십니까.김두석 자연에어컨의 입구가 되는 산 정상의 공기는 출구쪽의 뜨거운 공기보다
상대
적으로 무겁습니다. 이 공기는 출구로 나올 때 급격하게 단열팽창되기 때문에 원래의 산 정상의 공기보다 더 냉각되지요. 온도차가 클수록 단열평창의 정도는 더 커지기 때문에 출구로 나오는 공기는 더 ... ...
지구의 나이,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예를 들면 '중생대의 지층은 고생대의 지층보다 새로운 것이다. 석탄기의 지층은
상대
적으로 페름기의 지층보다 오래된 것이고 데본기의 지층보다는 새로운 것'이라는 정도로 슬그머니 넘어갔다.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볍씨의 나이가 4천3백40년이라는 것을 흥미롭게 생각하듯이 암석의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의 고슴도치는 이 가시털이 없다.우리나라 고유의 고슴도치는 북방고슴도치와 비슷하나,
상대
적으로 몸이 작고 머리의 털색깔이 좀더 어두운 갈색인 점이 특징이다. 입은 뾰족하며, 검은 색의 눈은 아주 작다. 몸을 움츠리고 있을 때에는 마치 밤송이처럼 느껴진다. 산이나 들에서 이들을 발견하게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모건(W. J. Morgan)은 지구표면은 여러 개의 단단한 지괴(地塊)로 이뤄져 있으며 각 지괴는
상대
적 운동을 하고 있다는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비슷한 시기에 라몬트연구소의 연구진들은 이러한 개념에 신지구구조론 (New Global Tectonics)이라는 이름을 붙였고 후에 판구조론(Plate Tectonics)으로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산소 아르곤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체)와 기타 미량성분(수증기 오존 등)으로 되어 있다.
상대
적으로 작은 체적이지만 전체 대기질량의 99.999%가 중립권에 몰려있다. 초속 2백m 강풍, 극야제트중립권은 다시 대류권(對流圏) 성층권(成層圈) 중간권(中間圏)의 세 부분으로 나뉘는 데, 오늘날 세계적으로 ... ...
비유클리드기하학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공간을 생각한다면 유클레이데스기하학은 쓸모가 없어진다. 현대 물리학 분야, 특히
상대
성이론을 통해서도 비유클레이데스기하학의 '현실성'이 명확하게 증명됐다. 실제로 대폭발(Big Bang)이후 무한히 팽창되는 우주나 검은 구멍(Black hole)에 빨려가는 우주의 모습은 비유클레이데스 공간의 모양이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