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프로파일
알선
피난
철수
명도
추천
d라이브러리
"
소개
"(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통보 때문이었다. 보다 못한 미국인 지도교수는 그에게 장학금 줄 수 있는 새로운 스승을
소개
했다. 물론 전공을 바꿔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남극에 갈지 공부 그만둘지’를 결정해야만 하는 순간이었다. 결정은 명쾌하고 짧았다. 훌쩍 올라탄 남극행 비행기그의 첫 남극 탐험의 시작은 그리 ... ...
벌레도 편식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하찮아 보이는 벌레조차도 ‘냄새의 기억’을 통해 건강에 해를 끼치는 먹이를 가려낸다.길이 1mm의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은 땅속을 기어 다니며 박테리아를 잡아먹고 산 ... 본 먹이를 나중에는 계속 외면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 11월 10일자에
소개
됐다 ... ...
하늘을 향한 인류의 도전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것이 4기통 13마력의 가솔린엔진을 단 인류 최초의 동력비행기 플라이어호다.이번에
소개
하는 곳은 라이트 형제가 첫 비행에 성공한 ‘플라이어 1호’를 보관하고 있는 스미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사이트. 비행기에 대해서 가장 많은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이 박물관은 1970년에 개관해 인터넷을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칠판에 두 번에 걸쳐 받아 적은 것을 비슷한 것끼리 모았다. 5년 동안 틈틈이 각 주제를
소개
하는 글을 썼다. 출판사 편집장을 만나 보여 줬더니 “내용이 좋다”며 좀더 쉽게 쓰라는 말을 들었다. 쉽게 쓰는데 2년이 걸렸다. ‘보이지 않는 권력자’(1997년)라는 첫 책이다.앞으로 생활 속의 미생물에 ... ...
예술과 과학의 화려한 만남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머리막이 닫히는 시간을 정밀히 계산해 오토메이션 시스템으로 만든 것”이라고
소개
했다.쇼 컨트롤을 이용한 무대기술로 가장 유명한 것이 캐나다 퀘벡의 ‘태양의 서커스’(Cirque du Soleil)가 선보이는 공연이다. 이들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공연 중인 ‘O’쇼나 ‘살팀바코’(saltimbaco)에서는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김탁곤 교수가 “우리 연구실은 군사 기밀을 다루는 곳이라 보안이 생명”이라고
소개
한다.“우리 학생들은 군부대에 수시로 출입하며 군사 정보를 다룹니다. 그래서 모두 국방부의 비밀취급인가를 갖고 있어요.” 시뮬레이션으로 국방력 키운다연구팀은 지난 2000년부터 국방부에서 개발하는 전쟁 ... ...
최고 기록 극한의 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생명체, 기술 등의 주제에 따라 채널을 구분해 각 주제마다 독특한 극한대상체를
소개
하거나 관련된 재미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시간 채널에서는 초기의 시계, 시간의 역사, 시간측정법, 다양한 달력에 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전세계 어느 곳이라도 바로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코너를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여기에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정보성 그래픽 부문 수상작을
소개
한다.| 정보성 그래픽 부문 | 형광의 진수(Fluoressence : The Essence of Fluorescence)셰릴 아론, 주식회사 오메가 옵티컬형형색색의 무지개가 떴다. 무지개를 이루고 있는 모자이크 조각 하나하나는 여러 가지 ... ...
고집적 vs 고효율 형광등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형광등’이라 불린 이 형광등은 소비자에게 어떤 조명보다도 눈에 자연스러운 조명으로
소개
됐다. 전력회사는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더 나은 조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기세가 조금 더 들더라도 고집적 형광등을 선택해야 한다고 선전했다. 이렇게 전력회사와 GE의 연합으로 탄생한 고집적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상해 5년간 10만달러(약 1억원)를 지원받았다. 당시 이 소식이 언론에 잠시
소개
됐을 뿐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다.하지만 미국 관련 학계에서는 ‘전설의 인물’로 통한다. 1991년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메릴랜드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는데 1995년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