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할래야 할 수가 없는 시스템이다.반면 안드로이드는 멀티 프로세스를 가진다. 한번에
여러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스파이앱이 계속 실행될 수 있다. 김 대표는 “아이폰을 해킹하려면 지하도로를 뚫어야 하지만 안드로이드는 8차선 옆에 도로 하나만 더 만들면 되는 차이”라고 말했다. 루팅이나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쫓을 때 시각정보를 사용하는지 여부였다. 이를 알고자 연구팀은 도마뱀의 뇌 활동을
여러
주 동안 기록했는데, 뇌 활동을 기록하던 중 뜻밖의 사실을 발견했다. 잠을 잘 때 뇌가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는 상태인 렘(REM, 빠른 안구 움직임이 관찰되는 수면 패턴) 수면패턴을 도마뱀이 보인 것이다.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소자’를 개발했다. 외부 음성처리장치 대신 서로 길이와 두께가 다른 유연한 압전소자
여러
개의 물리적 변화를 이용했다. 현재 쥐 실험만 진행 중이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실험은 미정이다. 인공 기관지다른 사람의 기증이 필요 없는 인공생체 이식의 길은 2011년 처음 열렸다. 영국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민후 사무실에서 만났다.첨단 분야 일선 연구자와 함께 하고파“포스트휴먼을 만드는
여러
기술들이 가져올 결과, 예컨대 낡은 장기를 인공장기로 대체해 100세 이상 사는 게 인간적으로 더 좋은 삶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백 교수는 “포스트휴먼시대를 앞당길 첨단 분야의 일선 연구자들과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강한 염기성(pH11~12)인데다, 체내에서 염소기체와 염산을 만들어내 마실 경우
여러
기관이 부식될 수 있는 물질 입니다. 더구나 락스 속 염소가 공기 중에서 순식간에 염소기체로 기화해 호흡기 질환이나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도 있죠.여기서 의심스러운 점이 생깁니다. 염소는 워낙 휘발성이 강한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무척이나 기대된다. 미래를 만들어나갈 데이터과학자와 앞으로 그 주역이 될지도 모르는
여러
분을 응원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빅데이터가 미래다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나타낼 수 있었다. 연구팀은 패드 발바닥에 게코도마뱀 발바닥 하나에 해당하는 발판을
여러
개 붙였다. 발판의 일부분만 닿아도 게코도마뱀 발 전체가 들러붙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미끄러지는 힘을 분석한 결과 패드 전체가 닿을 때와 일부분이 닿을 때가 많이 다르지 않았다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탈출 카페’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 탈출 카페는 밀폐된 방에서
여러
가지 단서를 찾아 자물쇠를 풀고 탈출하는 곳이다. 방 탈출 카페에 가본 적이 있는 기자는 서둘러 암호를 풀기 위해 팔을 허공에 휘젓는 모습을 상상했다.마지막으로 김 대표가 언제 가장 보람을 느끼는지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일은 과학자들의 오랜 목표였다.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분자 구조는 짧은 시간에
여러
차례, 복잡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보통은 반응물질과 생성물질밖에 확인할 수 없었다.그런데 미국 UC버클리와 독일 막스플랑크 물질구조역학연구소 공동연구진이 화학반응의 중간 과정을 볼 수 있는 현미경을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오는 빛이 빨간색으로 치우칠수록 빨리 멀어지고 있다는걸 뜻한다. 이런 과정을 반복해
여러
은하의 이동속도를 구하면 ‘거리 vs 은하이동속도’ 그래프가 나온다. 여기서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은하일수록 더 빨리 멀어진다는 결과가 나오면 우주가속팽창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가 될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