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수상 실적까지 낼 필요는 없다. 수상 실적 외에 다양한 활동 경력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우주
과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은 천문캠프에 참가한 뒤 작성한 보고서도 포트폴리오에 넣을 수 있다. 포트폴리오는 과도한 포장을 하지 않고 담백하게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열정을 보이는 게 좋다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뿐 아니라 무기재료 소재라 불꽃이 닿아도 녹아내리지 않는다.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은
우주
선이 대기층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열을 막는 단열재로 에어로젤을 썼다.최근 에어로젤 분말 양산 기술을 개발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영수 박사는 “에어로젤은 단열성이 뛰어난 안전한 소재이기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탐사선을 달에 보낼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ILN을 통한 첫 번째 성과는 초대형
우주
망원경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은 달 먼지로 만든 콘크리트로 망원경의 뼈대를 완성한 다음 지구에서 가져간 알루미늄으로 반사경을 만드는 방법을 제안했다. 중력이 약해 큰 망원경을 만들기 좋을 뿐더러 ... ...
하늘을 나는 자동차의 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곳에서는 기체가 손상되기 쉽다. 하늘을 맘대로 날아다닐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한국항공
우주
연구원 구삼옥 박사는 “보이진 않지만 하늘에는 항공기마다 항로가 모두 정해져 있다”며 “항공기는 절대로 새처럼 자유롭게 하늘을 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늘어날 경우를 ... ...
엑스맨탄생 울버린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하늘을 날지 못하고 산소통 없이는 물속에서 5분 이상 버틸 수도 없다. 남극을 정복하고
우주
를 여행하는 것도 과학이라는 울타리 안에서만 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영화적 상상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 놓인 인간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인간의 체온은 항상 37℃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40℃가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말에 보이저 1호는 지구를 떠난 지 28년 만에 헬리오스 지대라 부르는 태양계와 항성 간
우주
공간의 경계지역에 도달했다. 보이저 1호는 거의 한 세대 동안 140억 km를 비행했으며 여전히 지구와의 교신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데이터들을 보내오고 있다. 2015년에 이르면, 인간이 만든 비행체가 처음으로 ... ...
비상!
우주
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많이 들기 때문에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나도 얼마 뒤면 곧
우주
로 나갈 몸이라
우주
쓰레기 때문에 걱정이 많이 돼.
우주
가 깨끗해야 안심하고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 텐데 말이야. 우리나라도
우주
개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만큼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적극적으로 ... ...
다이아몬드별이 있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것이라고 추정했던 것이죠.”지난해 프랑스 파리천문대 에릭 미셸 교수팀은 지름 27cm의
우주
망원경 ‘코로트’로 HD49933, HD181420, HD181906이라는 3개 별의 밝기 변화를 정밀하게 관측해 태양에서와 유사한 진동을 발견했고, 이 결과를 ‘사이언스’ 10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 표면의 물질 운동과 온도 ... ...
‘신의 눈’에서 ‘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발견될 날도 머지않은 듯하다.1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리는 퍼레이드. 지난 2월 24일 허블
우주
망원경이 2시간 간격으로 찍은 2장의 사진. 위 사진에서 커다란 오렌지색 위성이 타이탄이고 토성 왼쪽의 고리 근처에서 밝게 빛나는 위성이 디오네다. 아래 사진에서는 4개의 위성이 토성을 가렸는데, ... ...
허블을 향한
우주
왕복선의 마지막 항해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