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공간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수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어요. a, b, c가 양의 정수이고, n이 3 이상의다시 보형 형식과 관련이 있어요.어떤 계기로 수학자가 되셨나요?처음부터 수학자가 되려고 한 건 아니었어요. 단지 자연과 인간과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 관심이 있었어요. 그래서 자연과학을 ... ...
- [과학뉴스] 입는 컴퓨터에 딱! ‘실’ 트랜지스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든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섬유형 트랜지스터는 소자를 접거나 구부려도 성능을 80% 이상 유지했다. 임 연구원은 “상용화를 위해서는 세탁 등 외부 자극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약한 인공지능에서 초지능으로 갈수록 구현하기 더 어렵다.그러나 이런 분류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기자는 1년 여 전 인공지능 기사를 위해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당시 그는 “지능이 창발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연구는, 기계가 우연히 내놓은 결과를 인간이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봤고, 그 결과를 지난해 8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절반 이상이 동일한 결과를 얻는 데 실패한 것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고한 97개의 연구 중 35개(36.1%)만이 재현 시도에서도 같은 결과를 냈다.사실 재현성 문제는 심리학에 한정된 문제도 아니고, 갑자기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동시에 공존한다는 생각을 고수하려고 합니다. 그냥 ‘지금’들만 존재합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줄리안 바버의 이론에 따르면 시간은 하나의 ‘지금’에서 다른 ‘지금’으로 흘러 가는 것이 아니다. ‘지금’들은 영원히 존재하지만 ‘플라토니아’라는 추상적 공간의 물리학에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숙제로 남아있다. ● 디스크 분해 의료장비김곤호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팀은 이상헌 고려대 의대 교수팀과 함께 플라스마를 이용해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환부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2010년 개발했다. 플라스마를 생성할 수 있는 두 개의 전극을 튀어나온 추간판 가까이 삽입하고 전압을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전체 뇌의 부피도 일반 개는 약 7만 7000mm3인 데 비해 복제견은 약 10만5000mm3으로 1.3배 이상 컸다. 엄 교수는 “후각과 인지를 담당하는 부위의 부피가 크면, 냄새를 맡아 처리하는 속도가 빠를 가능성이 크다”며 “복제탐지견의 인지, 분석, 행동 능력이 일반 개보다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고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연구하고 있다.수처리는 100년 이상 된 오래된 기술이지만 고도산화공정이 도입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산업 발달로 기존의 방법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물질들이 발생하면서 그에 맞춰 새로 도입된 정화 기술이기 때문이다. 특히 1991년에 발생한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말 이상은 들을 수 없었다. 스트레스가 만병의 원인이라지만, 이 경우엔 장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는 의미였다.그런데 이 책을 읽은 뒤, 단순히 스트레스 때문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의심하게 됐다. 저자의 주장에 따르면, 위장염과 항생제 사용으로 단기간에 장내 미생물이 파괴되면서 미생물총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보일 거예요. 그런데 이 넙치는 아주 특별한 ‘킹넙치’예요. 보통 넙치에 비해 30% 이상 빨리 자라고, 세균이나 기생충에도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답니다.”기사에서만 보던 킹넙치를 실제로 본 기자단 친구들은 그 크기에 깜짝 놀랐답니다. 어른 남성이 한손으로 들기에 벅찰 정도였으니까요. ... ...
이전3633643653663673683693703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