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최적의 실제 상황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현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미세한 스케일에서 설계한 결과를 실제 크기에 적용하면 많은
차이
가 생기는 이유다. 이 문제가 해결되면 나노소재기술의 응용 범위를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다.윤 교수는“전산응용역학은 그 성과가 크게 드러나는 독자적인 영역은 아니다. 하지만 한 제품을 설계하는데도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플래터 한판에는 최대 4시간 30분짜리 영화 필름이 장착될 수 있다. 플래터는 시간
차이
를 두고 같은 영화를 여러 관에서 상영하는 멀티플렉스에서 유용하다. 맨위 판에서 필름이 나오고 상영된 필름은 중간 판에서 감기며 맨아래 판에서 다시 새로운 영화를 준비하는 방식이다. 이를 이용하면 보통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새로운 대화, 과학이론에 포함된 가역적 시간의 개념과 일상생활을 통해 느끼는 시간의
차이
에 대한 대담한 통찰. 이로 인해 자연을 관찰하는 인간을 재조명하게 되고 인간과 자연과의 새로운 대화가 싹트기 시작했다. 이 모든 것이 프리고진의 학설에서 비롯된 것이다.프리고진은 단순한 과학자가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띄워 수개월 동안 해류의 속도와 방향, 크기 등을 측정했다. 울릉도 동쪽 해역은 조석
차이
가 30cm 내외로 작고 해류의 속도와 방향이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시간에 따라 수시로 변한다. 해류의 최대 속도는 초당 약 68cm다. 그러나 8백m 심해에서의 해류속도는 1-2cm로 매우 느리다. 해류측정장비(ADCP)를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갇힌 아르센 뤼팽’에 들어있다.중국 속담에 ‘모든 것은 결국 머리카락 한올의
차이
에 불과하다’는 말이 있다. 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체모나 머리카락이 한사람을 법의 이름으로 심판할 만큼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뤼팽이 탄생한지 1백년이 지난 지금 점점 더 날렵하고 용의주도한 ... ...
빛 속에 숨은 여러가지 색깔 찾기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나가게 된다. 이런 현상을 빛의 회절이라 한다. 이때 빛의 파장에 따라 퍼지는 각도에
차이
가 생긴다. 또 옆에 있는 틈으로 들어온 빛과도 만난다. 따라서 CD를 사이에 두고 빛이 들어오는 반대편에서는 다양한 파장을 갖는 빛의 파동이 섞인다. 이 때 파동의 모양이 정반대이면 상쇄되고, 나머지 빛의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보인다. 산개성단의 특징은 소형망원경이든, 대형망원경이든 보이는 모습에서 그리
차이
가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소형망원경으로도 꽤 만족할 만한 관측성과를 낼 수 있다. 산개성단 M7을 구성하는 주된 밝은 별은 30개 정도지만 상당히 밝은 편이어서 화려하게 느껴지고, 배경의 별들이 많아 성단의 ... ...
터널운전 왜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있는 터널 입구에서는 얇은 얼음막이 생기기도 한다. 눈이 녹거나 터널 안팎의 온도
차이
때문에 물방울이 맺히기 때문이다. 터널 안이 온도가 높고 터널 바깥은 온도가 낮아서 생기는 현상이다. 자동차는 얼음 위를 지나가면 마찰 계수가 크게 떨어져 브레이크를 잡아도 한참 미끄러진다. 이 때문에 ... ...
롱다리·똘똘이 유전자의 허황된 약속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그 결과의 신빙성에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또한 몇몇 유전자는 RFLP나 SSCP 방법으로도
차이
점을 알아내기 어렵다. 이 경우는 대상 DNA의 염기서열을 직접 판독(시퀀싱)해야 한다. 만약 대상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직접 시퀀싱했다면 그 결과는 매우 정확할 것이다. 하지만 과연 사설 업체에서 고가의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6등급의 밝기로 빛나는 천왕성 옆을 -1등급인 화성이 약 3° 떨어져 통과한다. 밝기
차이
가 많이 나기 때문에 흥미가 없을 거라고 지레 짐작할 수 있겠지만, 화성의 역사적 의미를 생각한다면 절대 그렇지 않다.작은 쌍안경으로 이날의 광경을 살핀다면 붉은빛의 밝은 화성 한쪽 옆에 초록빛의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