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뉴스
"
미
"(으)로 총 4,49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계에 ‘어벤져스’가 등장했다
2015.09.20
‘투명망토’의 모습이다. 물결치는 천에 작은 칩의 모습을 그래프로 만들었다.
미
국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LBNL) 연구팀은 해리포터 같은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이 신비의 망토를 개발했다. 이번에 연구팀이 만든 망토는 매우 얇아 쉽게 착용할 수 있다는 것이 ... ...
영화 ‘킹스맨’처럼 소리로 뇌세포 조종 성공
2015.09.15
세포에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이온채널”이라며 “초음파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는
미
세버블을 사람의 혈류 속에 흐르게 하면 사람의 세포도 초음파로 제어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5일 자에 실렸다. ... ...
식물 ‘메이애플’서 항암제 합성 원료 발견
2015.09.13
에토포시드 합성에 필요한 주재료(전구체)를 합성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
미
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항암제 에토포시드의 전구체인 ‘포도필로톡신(podophyllotoxin)’을 더욱 쉽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 ‘사이언스’ 11일 자에 발표했다. 메이애플. - USDA(위키피디아) 제공 ... ...
DNA로 용의자 얼굴 그린다
2015.09.11
여자아이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4년이 지났지만 수사는
미
궁에 빠졌다. 올해 1월
미
국 경찰은 DNA 표현형 분석 기술을 적용해 용의자의 신상을 공개했다. 용의자가 유럽인일 확률이 95%이며, 눈동자는 푸른색 또는 중간색일 확률이 95%라고 밝혔다. 또 머리카락 색은 94% 확률로 갈색 또는 ... ...
슈퍼 박테리아, 대변 이식으로 막는다
2015.09.09
과 다중약제 저항성 폐렴간균(Klebsiella pneumoniae)에 감염된 생쥐에게 건강한 쥐의 대변
미
생물 군총을 3일 동안 꾸준히 투여했다. 그 결과, 하루 만에 슈퍼 박테리아들이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7일 뒤에는 다중약제 저항성 폐렴간균이 거의 사라졌고 반코마이신 저항성 장구균은 60%의 쥐에서 완전히 ... ...
태양 따라 고개 돌리는 ‘해바라기’ 태양전지
2015.09.09
‘종이오리기(키리가
미
)’에서 영감을 받은 태양전지가 개발됐다. 막스 스타인
미
국
미
시간대 교수팀은 얇고 유연한 필름 형태의 갈륨·비소(Ga·As) 태양전지에 레이저를 이용해 칼집을 몇 개 냈다. 그 뒤 태양전지를 양 옆으로 늘이자 태양전지가 마치 커튼처럼 우아한 곡선 모양이 됐다. ... ...
미
국 원주민, 1400년 전부터 '커피' 수입해 마셔
2015.09.08
미
국 원주민은 약 1400년 전인 750년 무렵에도 ‘커피’를 수입해 마셨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
국 뉴멕시코대와 애리조나대 등 공동연구팀은
미
국 뉴멕시코를 비롯해 ... 사회관계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
미
국립과학원회보(PNAS)' 7일자에 실렸다 ... ...
영유아 때 영양부족하면 장내 세균에도 문제
2015.09.08
영유아 시절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은 아이들은 장내 세균에 문제가 발생한다. -
미
국 질병예방통제센터 제공 어린 시절 영양실조를 겪으면 장내 세균에 문 ...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이번 연구가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미
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7일자에 실렸다. ... ...
이란, 핵물질 저장하던 시설에서 암흑에너지 연구
2015.09.06
따르면 북한은 “(이란 핵 협상이)이란에게는 좋은 일이지만 북한과는 상관없다”며 “
미
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계속적으로 군사훈련을 하는 한 이란도 결국 핵을 포기하지 못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란의 생명과학 분야에서 여성은 50%를 차지할 정도로 과학계 여성의 입지가 두터운 ... ...
132억 년 전 은하 모습 찾았다
2015.09.06
셈이다. 연구진은 이 은하가 지구로부터 얼마나 빠른 속도로 멀어지고 있는지를 의
미
하는 ‘적색편이’ 수치가 8.48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우주가 계속 팽창한다는 ‘허블의 법칙’에 따르면 이 수치가 클수록 지구와 더 멀리 떨어져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전까지 가장 멀리서 발견된 ... ...
이전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