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295건 검색되었습니다.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03
앞으로 주위 개발 가능성도 적고 겨울철에 눈이 적게 오며 가까이 영천과 대구가 있어 소
백
산 천문대에서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단지 대구(보현산의 남서쪽 45km에 위치하며 보현산과의 사이에 1천1
백
93m의 팔공산이 있음)와 동해 연근해 해상의 오징어잡이 배에서 나오는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03
자급능력을 갖추지 못해 수산업이 뒤지고 있다.금은빛으로 반짝이는 모래밭을 1천5
백
km나 가지고 있는 스리랑카는 '동양의 진주'라는 말을 들을 만큼 경치가 아름답다. 눈이 시리도록 파란 바다와 푸른 하늘, 울창한 정글 등으로 스리랑카는 지구상에서 아직까지 오염되지 않은 나라로 꼽힌다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03
있다. 국내에서는 (주)세모가 최대속력 50노트의 공기부양선을 1992년에 개발해 인천-
백
령도간 항로에 지난 1월부터 본격적으로 운항하고 있으며, 현대중공업에서 개발한 42노트의 쌍동여객선도 올해 상반기에 시운전할 계획이다. 또한 대우조선공업에서는 해사기술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복합지지형 ... ...
우주를 나는 비행기 「젱거」
과학동아
l
199303
2시간 40분만에 주파한다. 호러스는 2~6인의 우주비행사와 2~4t의 화물을 싣고 고도 4
백
km 적도궤도를 날 수 있으며 우주여객기로 사용할 경우 승객 36명을 태울 수 있다. 젱거의 모습은 아직 컴퓨터 모니터에서만 볼 수 있지만, 터보제트엔진의 개발은 마하 4를 실현하는 단계에 와있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03
세로 길이 1.7m, 무게가 4
백
kg 나가는 로봇이다.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과학재단으로부터 2
백
만달러를 지원받아 제작된 이 로봇에게 부여된 첫번째 임무는 남극의 활화산인 에리버스산의 화구탐험.8개의 다리를 가진 거미모양의 단테는 지난 해 12월 화산학자들과 제작자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 ...
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게임 오름세
과학동아
l
199303
본다면 IBM PC 게임이 보급된 지도 만3년이 흘렸다. 그동안 정품으로 판매된 게임만 해도 3
백
종류가 넘는다. 그렇다면 국내 게임 유저들의 성향은 어느 쪽으로 흘러가고 있으며, 인기있는 게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또 현재의 게임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본다.IBM PC 게임 ... ...
소행성, 지구와 충돌 가능성
과학동아
l
199303
태양계의 미숙아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92년 말까지 공식적으로 등록된 소행성은 5천 3
백
80여개.그러나 토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띠에 존재하는 소행성말고도 궤도가 난폭한 소행성도 많다. 궤도가 난폭하다는 뜻은 혜성과 같이 행성 사이를 오가는 궤도를 가진다는 의미다. 이를 '특이 소행성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03
연구수준 및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얻은 것이 가장 큰 소득이라 여겨진다.소
백
산천문대의 영향을 받아 세워진 서울대 천문대, 연세대 천문대의 60cm 망원경의 공적도 무시할 수 없다. 국내 대학 중 경희대와 세종대에서 최근 지름 75cm 광학 망원경을 들여와 기존의 60cm 망원경들과 함께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03
모른다. 또한 몇가지 기술적인 장애도 예상된다. 예를 들어 반사경이 거의 시속 2만8천8
백
km로 우주를 여행하면서 빛의 조사점(a spot of light)을 특정지점에 정확히 조준한 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조준체계를 개발해야 한다. 그러나 아마도 이 기술적인 문제는 능히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03
화분에도 재배가 가능하다.원예용으로 남획되고 있는 큰앵초(Primula jesoana Miquel)는 해발 7
백
m 이상의 깊은 산 정상부 숲속 또는 물기가 있는 냇가에서 자라는 다년생 풀로 전체에 잔털이 있다. 땅속 줄기는 짧고 옆으로 뻗는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30~40cm 내외이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진다.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