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8,945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11
총 243개 작품이 경쟁했다. 그 가운데 대상 1개 작품을 포함한 본상 수상작 19
점
과 입선작 48
점
이 선정됐다. 주최측은 “지난해보다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 늘었고 작품 수준도 훨씬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당선작은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에서도 볼 수 있다.연화화생 대상 | 박영일·엔피씨(NPC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11
동경 135°선이다. 이 선은 울릉도 동쪽 350km 위치를 남북으로 지나 한반도의 어떤 지
점
에도 닿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의 경도 기준이 한반도에 있지 않은 것이다. 북경과의 시차를 42분으로 정해 쓰던 조선시대 사람들이 오히려 한반도의 경도에 맞는 시간을 사용했다고 할 수 있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T선은 암세포와 건강한 세포를 잘 구분해서 보여 준다.T선의 장
점
은 X선보다 안전하다는
점
이다. X선은 에너지가 높아서 몸에 해롭다. 그래서 자주 찍을 수 없다. 그러나 T선은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몸에 해롭지 않다. 암을 찾아 내는 착한 빛인 셈이다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10
추진도 요청된다원료를 구워 굳히는 것 세라믹스는 이렇게 만든다 세라믹 분말은 보통 융
점
의 절반 정도의 온도까지 가열하면 원자가 활성화되어 분말끼리 결합을 일으킨다 파인세라믹스의 경우는 원료 분말을 용해시키지 않고 고체상태인 채 소결시킨다램제트보다 한 걸음 앞선 극초음속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10
즉 먼저 기술을 선
점
하는 나라가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일인자가 된다는 뜻이다. 이런
점
에서 한국 역시 충분히 도전할 가치가 있다. 특수 안경 없이 보는 3차원 영상의 세계가 눈앞에 있다. 3D 디스플레이란?기존의 2차원 평면영상과 달리 사람이 보고 느끼는 실제 상황과 유사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 ...
여인의 초상 제 7화
과학동아
l
200710
다음에 과연 래빗이 무슨 말을 던졌는지가 또 다른 화제로 부각됐다. 어떤 이들은
점
잖게 ‘사람’이나 ‘녀석’ 정도라고 했지만, 어떤 이들은 복화술사까지 대동해 적어도 ‘새끼’이거나 여성의 성기를 지칭하는 단어에 가깝다고도 했다.일본 정부는 주일공사를 통해 정식으로 항의했다. ... ...
수컷이 암컷이 되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0
올라간 것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 때문에 지구는
점점
더워지고 있어요. 이대로라면 2080년엔 지구 평균 온도가 3℃나 올라갈거예요. 그러면 환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동물들은 성별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겠죠. 결국 멸종하는 종들이 많아지고….”“흑~, 그만! ... ...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10
±40˚ 이내의 위도 영역에서 발생하며 그것보다 고위도에 출현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흑
점
이 출몰하는 평균위도는 약 11년 주기로 변동한다 파가 등방성인 매질에서 다른 등방성 매절로 들어가 굴절할 때 입사파의 방향과 경계면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은 굴절파의 방향과 경계면의 법선을 포함하는 ... ...
부리와 깃털 가진 '초대형' 공룡?
과학동아
l
200710
말이다. 오비랩터 또한 육류와 식물류를 골고루 먹는 잡식성이었다.부리를 가진
점
을 비롯해 기간토랩터의 생김새와 형태학적 특징은 타조류와 비슷하다. 타조류(flightless bird)는 땅 위를 걸으면서 닥치는 대로 먹는 잡식성이다. 그러므로 기간토랩터도 타조와 비슷한 음식을 먹었을 것이다.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10
중요한
점
을 시사한다. 바로 빙산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
이다. 빙산 근처에 사는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물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바다는 이산화탄소가 줄어든 만큼 대기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다. 또 크릴새우는 식물플랑크톤을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