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정"(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숨기지 않았을까 구석구석 살펴봐야 한다. 정찰병을 효과적으로 조정하는 동시에, 정찰과정에서 얻은 불확실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 뛰어난 프로게이머들은 이런 불확실성을 이용해 상대에게 잘못된 정보를 일부러 보여줘 혼란을 주는 심리전을 펼친다. 반대로 아주 작은 ...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학에서 듣는 통계학 수업은 결국 영가설 유의성 검정 절차를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즉 유의확률을 얻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여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렇게 널리 이용되는 절차에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 다음 호에서 영가설 검증과 유의확률의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자 기장 방향을 따라 회전운동을 한다. 플라 스마 상태 입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빛을 내기도 한다. 전자가 들뜬 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떨어지며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기도 하고, 양이온과 전자가 전기장에 의해 가속되거나 자기장 주위를 회전하면서 빛을 낼 때도 있다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여기(들뜬) 상태가 된다. 이중 일부는 곧 에너지를 잃고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는데, 이 과정에서 일정한 파장의 전자기파가 나온다. 플라스마 조명과 대형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레이저 등은 모두 이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플라스마 조명은 다른 인공 광원과 달리 태양과 흡사한 연속적인 빛을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린 난자를 꺼내는 낭패를 볼 수도 있다. 어린 난자는 핵을 제거하고 체세포를 넣는 과정에서 다 터져버린다.게다가 돼지는 3주, 사람은 4주에 한번씩 배란하는 반면, 개는 6개월에 한번씩 배란한다. 한번 시기를 놓치면 6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원하는 만큼 실험을 하려면 그만큼 후보 견을 많이 ... ...
- [Career] 산소로 정화한 물, 마셔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염소 소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정수된다. 그런데 당시 공장에서 배출된 페놀은 이 과정으로는 제거되지 않았다. 더군다나 페놀은 염소를 만나 염화페놀이 되면서 오히려 독성이 더 강해졌다.최근에는 적조와 녹조, 그리고 가뭄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 역시 수처리 기술이 발전해야 해결할 수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화학연구소 교수의 강의를 모았다. 그는 생물학과 화학 분야의 다양한 이론이 나온 과정을, 유명한 ‘스캠퍼(대치•결합•응용•수정•다른 용도로 사용•제거•재구성) 기법’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학생들이 이 기법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도록 독려한다.이 두 권의 책을 읽는다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빠르게 진동한다. 진동하던 입자가 이웃한 입자들을 때려 자신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이처럼 물질이 직접 이동하지 않고 물체 내에서 이웃한 분자들과 연속적으로 충돌하며 열을 전달하는 현상을 ‘전도’라 한다.복사 : 햇볕을 쬐거나 무대에서 강한 조명을 받으면 ...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우봉고로 일차방정식을 요리해볼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2개인 일차방정식의 시각적 사고x, y가 자연수일 때,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을 푸는 과정을 퍼즐판으로 시각화해 사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ax+by+c=0(a,b,c는 상수, a≠0, b≠0)을 일반화해 해를 구할 수 있다. 가. 6개의 모둠으로 조직하며,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모둠별 대표를 두고 모둠명을 정한다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새로운 신경망은 아이처럼 인공지능 엄마의 지도로 학습을 하는 방식이다.기초 설계과정에서도 사람의 손을 거친다. 우리가 원하는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각 층들이 어떤 구조로 연결될지 정의해야 한다. 예컨대 몇 개의 층으로 신경망을 구성할지, 각 층의 적당한 크기는 얼마인지, 방대한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