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동영상 보기 (클릭!)허공에다 낙서를 하면 그대로 선으로 된 조각이 만들어지는 일명 ‘3차원(3D) 펜’이 나왔다. 펜촉에서 잉크 대신 나온 말랑말랑한 플라스틱이 바로 굳어 3차원 ... 때 ‘사랑해’라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 이 펜으로 마음이 담긴 목소리와 함께 연애편지를 보내 볼까 ... ...
- 개나리 VS 영춘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헷갈려요~!2월이 되면서 아파트 화단에 피어난 노란 꽃이 있어요. 저는 개나리라고 생각했는데 아빠가 영춘화라고 하시네요. 같은 꽃이 아닌가요?헷갈리우스님 알려 ... 끝도 둥글어요. 잎도 개나리와 달리 가장자리가 밋밋하지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남부에서도 볼 수 있답니다 ... ...
- 위험한 상황에서 사람을 대신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최근에 안타까운 일이 있었어. 화재를 진압하던 소방관들이, 불화수소산 가스가 새어 나온 공장에서 목숨을 잃었거든. 만약 사람 대신 로봇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위험에서 사람을 지켜 ... 많아질수록 만화영화 ‘태권V’에서처럼 사람과 똑같이 태권도를 하는 로봇을 빨리 볼 수 있을 ... ...
- [통계이야기] 고객 맞춤 서비스에는 통계가 있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알기 위해 설문조사도 해요. 설문조사를 이용하면 궁금한 내용을 고객에게 정확히 물어볼 수가 있거든요. 그 결과를 이용해 고객이 필요로 하는 신제품을 개발하고, 고객 맞춤 마케팅을 계획할 수 있죠.방법에는 전화 인터뷰, 직접 만나서 하는 인터뷰, 우편 조사, 인터넷 설문 등이 있어요. 무엇을 ... ...
- [핫이슈1] 청심ACG수학대회에 도전하세요!수학동아 l2013년 05호
- : 새로운 형태의 시험인데요, 어떻게 준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문제집에서 볼 수 있는 문제를 푸는 대회가 아니기 때문에, 수학 문제를 많이 푸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거예요. 대신 학교에서 배우는 모든 과목을 즐겁게 공부하세요. 책도 많이 읽고,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저와 금결이 형, 정말 대단하죠? 미래에는 어떤 생체모방 기술이 나타날까요?아마도 지금 볼 수 있는 발명품보다 더 동식물과 닮은 것들이 탄생하지 않을까?네, 빅도그와 스마트버드처럼 앞으로는 동물과 더 많이 닮은 로봇이 많이 탄생할 거예요.앗, 어떤 게 동물이고 로봇인지 헷갈리면 어떡하지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척척 길을 찾아 잘도 돌아온답니다.개미에게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최단거리 찾는 개미 알고리즘대부분의 개미는 먹이를 찾아 돌아오는 길에 페로몬이라는 냄새 분자를 떨어뜨린다. 이는 동료 개미들에게 먹이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서다. 그 결과 개미들의 통행이 잦은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새로운 과학이 증명된다는 것은 과학자들을 흥분시키는 일이다. 하지만 빛으로도 볼 수 없던 태아 우주를 만난다는 것은 그보다 더욱 떨리는 일이다. 우주의 먼지인 우리가, 우주의 모든 것이 한 데 섞여 담겨 있는 단 하나뿐인 시공의 기원을 마주한다. 경이로운 탄성은 그 때를 위해 남겨둬야 할 것 ... ...
- 제21회 천체사진공모전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1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이 발표됐다. 심우주의 화려한 성운, 태양의 흑점과 금성 통과 장면, 아름다운 ...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science.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 ... ...
- 알랑가몰라? 수영하는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발톱 자국이 왼쪽과 오른쪽 좌우 번갈아 찍힌 점, 연속으로 15m 가량 이어진 점 등을 볼 때 이 자국의 주인은 다리 길이 1m 가량의 두 발로 걷는 육식 공룡이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육식 공룡이 발톱 끝으로 강바닥을 짚으면서 노를 젓는 원리로 앞 다리를 움직이며 수영했다는 얘기다.이 화석의 발톱 ... ...
이전3643653663673683693703713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