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수 없는 연소기관이다. 동물은 탄수화물 대사과정에서 많은 생물전기를 만들어 근육에
전달
한다. 이때 근육은 운동에너지를 생산하여 동물을 활동하게 한다. 사실 이는 대사동력기관인 것이다. 탄수화물 등과 같은 화합물은 무한히 많고 재생가능한 천연생물자원이다. 이를 이용한 동력기관이 ... ...
자외선 오존층 뚫고 지구 위협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비타민 D를 광합성시킨다는 점이다. 비타민 D는 뼈의 대사나 창자로부터의 칼슘(Ca)
전달
에 중요한 인자로서 어린이들의 구루병과 어른들의 골다공증 예방에 필수적인 비타민이다. 이 비타민 D는 다른 비타민류와는 달리 피부속에 있는 말피지안(Malpighian) 세포 내에서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화학 반응을 ... ...
3차원 입체 영상의 마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실제로 사진으로 실험해보는 것도 재미있다.그러면 왼쪽과 오른쪽 눈에서 뇌로
전달
된 영상은 어떤 원리로 그 차이가 감지되는 것일까.대뇌의 한 부분인 시각을 담당하는 영역에는 양안 시차검출세포라는 것이 있어서, 그속에서 좌우의 눈에서 들어온 두가지 영상의 중심점을 보고 양쪽을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뇨가 차면 배뇨근의 팽창 감응기(stretch receptor)를 자극, 감각 신경을 통해 뇌로 요의를
전달
한다. 그러나 오줌이 괴면 곧 배설되는 것은 아니며 일시적으로 배뇨를 참을 수 있다. 그것은 방광의 괄약근이나 요도를 의식적으로 수축시켜 오줌이 통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인데, 이것은 자율신경의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백72크로네. 당시 기준으로 3만2천달러 상당의 이 돈은 이듬해 밀레바 모자에게 고스란히
전달
됐다.4. 왜 노벨상 수상이유는 상대성이론이 아닌가아인슈타인이 1921년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을 때 누구나 저 유명한 상대성이론으로 이 상을 받았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그러나 사실은 그렇지가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내는 일부터 하라"고 충고하기도 했다. 대중한테 과학을
전달
하는 일이라면 시골 국민학교라도 달려가겠다는 것이 현재 김교수가 갖고 있는 생각이다 ... ...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혁명의 실상을 소개하고 그것이 가져다줄 미래의 모습이 어떤 것일까를 관람객들에게
전달
해주는 곳이 바로 테크노피아관의 역할이다.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이른바 컴퓨터에 대해 묻고 답하는 Q&A공간이 나타난다. 미래기술을 상징하는 이름을 가진 아이 둘(테키와 테니)이 "컴퓨터에는 어떻게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반사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빛의 산란은 도달하는 빛을 흐트러뜨리게 되어
전달
되는 양을 감소시킨다. 별들 사이의 공간에서도 이러한 빛의 산란이 별빛을 감소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가스와 성간먼지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은하면에는 더욱 이 효과가 커진다. 따라서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것이 곧 그 제품의 기능이다. 그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음의 재생기능
전달
기능 크기조절기능 등과 같은 여러가지 부차적인 기능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어떤 제품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부품이나 요소들의 고유한 구실이나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져야만 제품이 제 기능을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어느 특정지역의 사투리인 듯한 자막을 넣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옳지 않은 정보를
전달
하고 있는 것을 봤는데, 그럴 때는 안타깝기 그지 없다.우리들은 아름다운 우리 식물을 바르게 알고, 자세히 관찰해 억새를 갈대라고 부르거나 붓꽃을 난초라 부르는 잘못을 되풀이하지 말아야겠으며, 산꿩의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