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막스 플랑크가 푼 양자론의 실마리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완전무결한 공식임을 알았다. 그러나 여기서 만족하고 그쳤으면 플랑크 교수는 유명해
지지
도 않았으려니와 오늘날의 양자론 또한 그 발전이 늦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플랑크 교수는 자기의 공식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몇년을 두고 곰곰히 생각했다. 파동의 강도는 그 진폭에 비례하고, 진폭은 ... ...
달은 45억년전 대충돌로 생겼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천체 덩어리들이 뭉쳐서 태양을 중심으로 질서있게 편성된것이라고 종래의 학설을
지지
하는 학자도 많다.아직 어떤 주장이 진리인지 아무도 단언할수는 없는 단계이다. 그러나 지구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깊게 파인곳이 있다든가(충돌시에 함몰됐다는 것), 지하의 맨틀표면에 금이나 백금같은 ... ...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전반적으로 불확실한 따라서 불쾌한 것으로 되고 만다. 독서기피는 엔트로피가 낮춰
지지
않는 불쾌감에서 온다고 보아야 한다.의사소통을 제대로 하고자 할 때 최종의 목적은 상대편 엔트로피의 감소이다. 그래서 평상시 쓰던 단어규약을 지키는 것이 옳다. A단어를 B단어로 바꿨을 때 듣는 사람이 ... ...
「발리움」같은 좋은약 있어 가벼운 정신질환, 참을 필요없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항 우울증약(Anti-depressants)이 뇌에 어떤 모양으로 화학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
지지
않고 있다.가벼운 정신질환가운데 불안이나 식욕과 다 증세를 보이는 사람한테는 '이미프라민'(Imipramine)이 많이 처방되는데 복용자의 60%가량이 효과를 나타냈다는 보고가 있다.여러사람앞에서 지나치게 ... ...
서류화상정보처리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지워지는 일이 없다. 서류를 수정하거나 첨가하는 경우에는 서류가 그대로 고쳐
지지
않고 각주의 변호로 나타나므로 흔적이 남는다. 시스템접근도 보안시스템에 기초한 암호때문에 오로지 예정된 근무자만이 가능하다. 서류화상정보처리기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워크플로(WorkFl${o}^{TM}$)가 있는데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실제로 해보라'는 것입니다. 비행기 옆에는 가보지도 않고 책만 본다고 비행기가 만들어
지지
는 않지요. 아직 전투기를 설계할 수는 없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이 손수 설계도를 보고 부품을 구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학교 비행 사업'(School Flight Project)이 널리 실시돼야 합니다."우리나라에서는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먹이를 사냥하는 것은 고양이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본능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쉽게 없어
지지
않는 법이다.한 편 꿈은 미래를 예시한다고도 하는데 꿈이 뇌의 기능이라고 본다면 꿈의 예시기능 역시 뇌의 신비한 능력에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우리가 오랫동안 잊어버렸던 사건을 아무리 ... ...
첨단산업의 첨단공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고농도의 유기용제가 검출되어 반도체공장과의 관련이 추측되고 있으나 인과관계는 밝혀
지지
않았다. 반도체공장과 오염과의 관계가 애매한 한가지 원인은 사용되는 인공합성화학물질이 '기업의 노하우'와 관련이 있고 유해물질에 대한 미지근한 법적규제 때문이다.극단의 정밀공정 하이테크 ... ...
수험생의 간식, 무엇이 좋은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고급이고 손이 많이 가는 것인데 유과는 찹쌀을 발효시켜 가루로 만든 뒤 부풀려 기름에
지지
고 엿을 발라 박산을 입힌 것이다.약과는 일정한 모양으로 떡을 찍어 기름에 지진 것으로 어느 것이나 만들기도 공이 들지만 맛이나 영양도 그만큼 우수하다. 지금은 시중에 대량으로 만들어 팔고 있는데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있게 된다.그러면 대륙을 만들고 있는 부분은 왜 해저 플레이트처럼 순환하여 새로와
지지
않는가. 몇십억년 동안에 여러곳에서 플레이트의 충돌이 있었는데 왜 대륙은 오랫동안 그대로 있는 것인가. 다시 밀도문제가 제기된다. 대양저를 이룬 암석의 구성광물 쪽이 대륙지각 구성광물 보다 밀도가 ... ...
이전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