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대문에 공룡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수도권에서 가장 큰 자연사박물관이 어딘 줄 아세요? 바로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입니다. 문을 열고 들어서면 사나운 아크로칸토사우루스가 달려드는 화석과 거대한 티라 ... 2007년1월 28일까지는‘갑옷입은 연체동물’특별전시회가 열려 연체동물의 화려한 생존 전략을 살펴
볼
수있어요 ...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바라보았지. 살다 보면 앞에서만 보는 게 아니라 아래나 옆, 위에서처럼 다른 방향으로
볼
줄 알아야 해.” mission 2 지워져도 다시 한 번‘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속담처럼 탐정 개 3년이면 사건을 해결한다. 다무러는 썰렁홈즈처럼 첫 번째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했다.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4
아닌 종이와 지폐 사이에
볼
펜이 꽂히고, 그러면 지폐는 빗겨가고 종이만 뚫리지. 결국
볼
펜이 관통한 듯 보이는 지폐는 사실 멀쩡한 상태! 칼로 목을 찌르는 무시무시한 마술도 이 실험의 원리와 같아. 실제로 관통한 듯 보이지만, 실험에서처럼 교묘하게 피해서 나온 거야. 어때? 무시무시하게 ... ...
콧물질질~ 고름찍찍~ 눈물의 일본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어디에 있을까? mission 2 도대체 누가 먼저야?눈을 치료받은 썰렁홈즈는 이제 제대로
볼
수 있었다. 다음은 이비인후과. 다행히 안과와 같은 건물에 있었다. 병원에는 많은 사람들이 일본 최고의 콧물 제거 전문가인‘코무리 후루코’박사에게 진료를 받으려고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서로 먼저 ... ...
흰 모자를 쓴 화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화성은 왜 그렇게 끊임없이 화제에 오를까요? 화성이 인류의 관심을 끌어온 이유는 여러 면에서 지구와 너무 비슷하여‘제2의 지구’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맨눈으로 보면 ... 것 같다고 해서 극관(polar cap)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화성은 내년 말이나 되어야
볼
수 있답니다 ... ...
우리 다시
볼
수 없을 지도 몰라 - 한반도 멸종 위기 동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3
더 자라면 자연으로 돌려보낼 예정이랍니다. 보기 힘들었던 남생이들을 앞으로는 자주
볼
수 있게 될 거예요.다양한 생물과 함께하기 위해서예전엔 사람들이 모두 인간만을 위해 살아가는 것 같아 보였어. 우리 집을 더럽히고 파괴하는 사람들이 밉고 싫기만 했단다. 하지만 과거의 잘못을 깨닫고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보자간단한 실험으로 침에 들어 있는 아밀라아제가 녹말을 엿당으로 바꾸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준비물은 녹말이 풍부한 삶은 감자와 35℃ 가량의 따뜻한 물, 당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다. 삶은 감자는 둘로 나누어 한 쪽은 잘 으깨 두고 다른 한 쪽은 약 3분 가량 잘 씹어 두자. 어떻게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모바일의 혜택을 누리기까지 인류가 어떤 일들을 했는지 역사 속의 인물들을 통해 살펴
볼
까요?직접 뛰어서 정보를 전달해!난 고대 그리스의 용사 페이디피데스야. 기원전 490년 우리 그리스를 침략한 페르시아 군과 전투가 벌어졌지. 바로 그 유명한 마라톤 전투야. 우리는 대승을 거두었어. 정말 ... ...
도심에서 너구리를 만나
볼
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물고기가 살고 있고 때로는 너구리가 나타나 화제를 낳기도 했어요.봄 여름 가을 겨울 다
볼
만 한데 특히 한겨울에는 얼음 위에서 썰매를 탈 수도 있어요. 이번 놀토에는 아빠 엄마 손을 잡고 양재천에 가 보면 어때요 ... ...
나를 닮은 봇 VS 로봇을 닮은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22
시력이 나오지는 않지만 망막 이식 수술이 아닌 기계장치의 도움을 받아 물체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각장애인들에게 희망을 준다. 같은 원리로 인공귀는 소리를 전자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한다. 냄새를 맡고 맛을 느끼는 인공코와 인공혀도 한창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몸을 움직일 수 없는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