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 제 1 막 |재판장:지금부터 재판을 시작합니다. 검사, 먼저 피고인 신문하세요.검사:피고 630씨. 2007년 4월 뉴스를 보니 당신은 미국 퍼듀대 블라디미르 샐라예프 교수팀이 만든 10nm(나노미터, 1nm=10-9m) 너비의 미세한 바늘들을 원통 형태로 정렬시킨 구조물을 지날 때 마치 물줄기가 바위를 휘돌아 나 ...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대응하는 우리말은 「생물공학」 또는 「생명공학」인데, 생물 또는 생명과 공학이 깊이 연결된 새 분야이다 동물의 상태 · 행동 등의 연구에 이용하기 위해 근년에 개발된 소형전파송수신기(電波送受信機) 야생동물의 몸에 검출기(檢出器) · 송신기(送信機) · 안테나를 부착하고 그 수신 전파에 ...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과학동아 l2007년 09호
- 위해 세일즈에 몸을 던졌다.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금융공학을 공부한 김 이사의 이력은 세일즈와 잘 어울리지 않는 듯 보이지만 수학 덕분에 금융시장의 유행을 선도할 수 있었다. 확률분석으로 금융상품의 상품성을 따져본 뒤 가장 합리적인 상품을 고객에게 권하고, ...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과학동아 l2007년 08호
- 듯 보이는 현상은 사실 메탄하이드레이드 안의 메탄이 타기 때문이다.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흔 교수는 “석탄이나 석유 같은 화석 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 메탄하이드레이트의 가치가 높다”면서 “매장량이 막대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메탄하이드레이트의 매장량은 약 10조톤으로 ...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과학동아 l2007년 08호
- 의 인재로 키우는 대학입니다. 준비된 학생은 도전하세요.”포스텍 학생처장 강인석 화학공학과 교수 말에 자신감이 배어 나왔다. 포스텍은 개교 이래 학부생을 300명만 뽑고 있다. 일단 합격을 하면 졸업할 때까지 생활과 학업, 진로까지 1:1로 관리하며 책임진다. 물론 적은 수의 상위권 학생에게 ...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과학동아 l2007년 08호
-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Q 부총리께서도 취임 전 화학공학을 전공한 과학기술인으로 오랫동안 활동하셨는데요, 현장에서의 경험이 전주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 같습니다.A 연구현장의 애로 사항은 현장을 겪어본 사람이 가장 잘 파악할 수 ...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과학동아 l2007년 08호
- 등 전자장치를 조합한 새로운 지능 주입형 공작기계 기계공학(mechanics)과 전자공학 (electronics)의 합성어 이다아세트알데히드의 중합체 침상 또는 판상 결정이며 녹는점은 246℃(밀봉관 속에서)이다물에는 녹지 않으며 유기용매에는 녹는다아세트알데히드의 중합도는 4~6이며 80℃ 이상으로 가열하면 ... ...
- PART2 있다! 없다! BEST 5과학동아 l2007년 08호
- 좌대아래 붙어있는 제목 끝에 붙은 물음표를 지우고 자신의 이름을 붙이고 싶은 이공학도는 도전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 이공계 쌍두마차 KAIST VS. 포스텍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PART2 있다! 없다! BEST 5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과학동아 l2007년 08호
- 실용화에 바짝 다가선 것이다.산화물 해결사의 걸음은 멈추지 않는다. 노 교수는 “공학자들이 어려운 문제를 풀 때 우리 연구가 약간의 실마리를 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겸손해 하지만 누가 알겠는가. 약간의 실마리가 아니라 과학계를 뒤흔들 사건이 벌어질지.손수 만든 장비로 세계적 성과 ... ...
- 요리를 사랑한 화학자과학동아 l2007년 08호
- ‘거품내기’라는 역학과정, ‘발효’라는 미생물학 과정, ‘식기와 장비’라는 공학의 산물까지 한데 뒤섞인 것이라고 정의한다.그는 아인슈타인이라는 저명한 과학자가 요리사와 대화를 나눈다는 가정 아래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을 주방에 들어가게 한 것부터가 요리를 ... ...
이전3653663673683693703713723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