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다.우리 곁을 흐르고 있는 하천은 단순히 물이 지나가는
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대 문명의 발상지는 동서를 막론하고 모두 하천 주변이다. 예를 들어 4대 문명의 하나인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서 꽃을 피웠는데, 메소포타미아 ... ...
완벽한 동반자의
길
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소크라테스는 악처 때문에 철학자가 됐다는 이야기가 있다.그의 아내가 실제로 악처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이 이야기는 한사람의 인생에서 배우자의 역할이 얼마나 큰지 말해준다.과학의 미래를 함께 설계한 퀴리 부부는 어떤 생활을 했을까.서양 과학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작업은 사실 아리 ... ...
3가지 빛깔의 과학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독립된 인격으로 제대로 대우받지 못했던 시대에 세상의 편견과 힘겹게 맞서며 과학자의
길
을 걸었던 사람.하지만 아인슈타인과 마리 퀴리에 대한 이런 얘기를 들어봤다고 해서 그들을 ‘안다’고 할 수 있을까. 이들의 고민과 갈등이 단지 ‘위인’들이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에 지나지 않는다면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실제로 타고 다닐 순 없더라도 동일한 정도의 과거 경험이 가능하지 않을까.디지털 손
길
기다리는 고대 유물디지털 복원은 기존의 논문이나 종이책 문화에 고착돼 왔던 과거 역사에 대한 이해를 영상의 힘을 통해 한층 더 확장시켜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이론이나 학설과 마찬가지로 디지털 복원도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M2A라는 최초의 캡슐형 내시경을 개발해 판매에 돌입했다. M2A는 두께가 12mm,
길
이가 30mm로 체내 영상 데이터를 제공해 진단에 쓰일 수 있다. 현재 한국의 경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 연구센터에서는 M2A와 차별되는 내시경을 개발·연구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미래에는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태어났을 때에는 세태의식이라 해 그 아이의 탯줄을 깨끗이 씻어 백자항아리에 담아
길
한 방향에 고이 모셔뒀다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이것을 땅에 묻는 안태의식을 치뤘다. 이런 모든 과정은 아이를 출산하는 것 이상으로 매우 복잡하고 중요한 왕실의 큰 행사였다.‘조선왕조실록’에는 왕실의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페달을 밟는다. 이 측면은 아직 많은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크랭크
길
이가
길
면 그만큼 동작범위가 커지고 많은 근육이 사용되며 공기의 저항이 거세지는 단점도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앵클링(ankling)이라는 테크닉을 사용하기도 한다. 앵클링은 페달을 누를 때 발목을 굽히고 올릴 때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요원보다 기자가 먼저 들어가는 웃지 못할 해프닝이 연출됐다. 그 결과 무덤 내부의 복도
길
에서 무령왕과 왕비의 관을 지키는 돌짐승의 머리에 꽂혀 있는 철제 장식이 부러지고 바닥에 흩어져 있던 청동숟가락 하나가 밟혀 부러지는 불상사가 발생했다.어쨌든 무령왕릉의 발견은 순식간에 전국으로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깔아 거북 등처럼 만들고 그 위에는 우리 군사가 겨우 통행할 수 있을 만큼 십자로 좁은
길
을 내고 나머지는 모두 칼·송곳 같은 것을 줄지어 꽂았다. 그리고 앞은 용의 머리를 만들어 입은 대포 구멍으로 활용했으며 뒤에는 거북의 꼬리를 만들어 꼬리 밑에 총 구멍을 설치했다. 좌우에도 총 구멍이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서울대 박승재 교수. 자신이 뿌려놓은 과학교육이라는 씨앗이 거친 토양을 뚫고 세상밖으로 고개 내미는 것을 보며 행복해하는 사람. 모든 이들의 삶 속에서 호흡하는 과학 ... 사람들이 과학을 과학자들의 놀이쯤으로 여기지 않고 숨쉬는 공기처럼 삶의 동반자로 여
길
날을 기대해본다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