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지상에서 번개 일으켜 피뢰기 모의실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않고 규정된 온도상승범위 이내로 운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험설비인
셈
이다.한편 변압기의 특성시험을 하기 위해서는 변압기에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60Hz 전원을 사용하지만 다른 나라의 경우에는 50Hz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변압기를 수출하기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안의 전력밀도와 비슷하다. 지구의 일부 상공이 한순간 전자레인지 안에 놓이는
셈
이다.하지만 이스트런드 박사의 계산에 따르면 폭풍 아래에 서있는 사람은 안전하다. 하강기류의 물방울들이 상당한 양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해서 땅에 도달하는 양은 굉장히 미약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만약 폭풍과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도료는 18세기경부터 전문적으로 제조됐다. 도료가 중요한 공업재료로서 위치를 갖게 된
셈
이다. 특히 1920년대 초에 점도가 낮은 니트로셀룰로오스 락커가 합성돼 자동차용 도료로 사용되면서 도료공업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고분자 과학의 학문적 체계가 완성되면서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이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도록, 더 나아가 좋은 유전자로도 바꿀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는
셈
이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김용성 박사는 “환경 변화로 인한 메틸화는 염기서열을 바꾸지 않더라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킨다는 점에서 전혀 새로운 생물학의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한다.아마도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사구에는 현재와 과거와 미래에 대한 자료가 모두 담겨 있는
셈
이다.한국의 모래사막 신두리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의 모래사막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신두리 해안사구는 태안반도의 북서부 해안인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에 위치한다. 해안선을 따라 길이가 약 4km, 폭 5백m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 세상에는 오래 전부터 남녀가 절반씩의 비율로 태어나는 것이 자연의 섭리였던
셈
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을 비롯한 아시아인들은 뿌리깊은 남아선호 사상 탓에 아들을 갖고자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만일 사람의 성이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면 남자아이를 갖기 위해 온도 요법이 성행했을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서울에서 경부선 기차를 타고 5시간 남짓 걸려 도착한 밀양역. 이곳에서 시외버스터미널로 가서 행선지 표지판에 ‘얼음골’이라고 쓰여진 산내면 남명리행 버스에 승차했다. 남명리행 ...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로선 얼음골 얼음의 운명은 날씨보다 사람에 더 달려있는
셈
이다 ... ...
SF 작가의 공상에서 태어난 통신위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태평양과 대서양 너머로 생중계하면서 였다. 바로 지구촌의 시작을 알리는 전주곡인
셈
이었다.위성을 이용해 지구전체에 전파를 중계하는 아이디어는 1945년, 훗날 ‘2001년 스페이스 오딧세이’로 유명해진, SF소설가이자 영국행성간협회 회장인 아더 C. 클라크가 냈다. 클라크는 지구밖에 펼쳐진 ... ...
자연의 노래 채집하는 사냥꾼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마치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할 수 있는 색을 담은 팔레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셈
이다.현장에서 채집된 다양한 자연의 소리들은 컴퓨터로 처리된다. 마이크로폰이 음파를 받아서 그 진동에 따라 만든 전기신호를 컴퓨터로 분석하면서 편집하는 것이다. 컴퓨터를 통해 기록된 소리에서 필요 없는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6℃), 수소기체는 20K(-2백53℃)에서 액체로 바뀐다. 드디어 인간이 영하 2백53℃까지 극복한
셈
이다.생화학 반응 정지하는 극저온의 세계한편 이때까지 액체화되지 못한 기체가 있었다. 바로 헬륨이다. 헬륨은 20세기 들어 액체화됐다. 1908년 네덜란드의 과학자 온네스는 끓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인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