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회로를 구성하며 기판에는 이런 회로요소를 결합하여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한 소정의
양
식이 미리 진공증착(眞空蒸着) 등에 의해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基板) 위에 진공증착법(眞空蒸着法) 등으로 형성한 반도체박막(半導體薄膜)을 사용하여 만든 트랜지스터 TFT라고도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닫힌 지형이 아니기 때문에 고유진동 주기가 나타날 수 없다는 설명이다.하지만 한국해
양
연구원 박광순 박사는 “파도의 회절과 반사, 중첩 같은 파동의 성질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결과”라며 “일직선의 방조제 바로 앞에 있는 섬의 지형적 특징이 원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보통 파도는 완만한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와인을 소재로 한 만화 ‘신의 물방울’의 작가 아기 다다시 는, 1964년 1000만 원에 낙찰돼 세간의 관심을 모은 와인 샤또 마고를 클레오파트 ... 설명했다.토
양
은 자신이 가진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그대로 작물에게 넘겨준다. 토
양
은 모든 식물의 ‘안식처’이자 ‘충전소’인 셈이다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길어져 해가 지는 시각은 저녁 7시 52분이다.서서히 어두워지기 시작하면 얇은 눈썹 모
양
의 초승달이 모습을 드러내고 그 위로 밝기 0.9등급의 토성이 빛난다. 여기에 붉은색을 띠는 밝기 1.1등급 화성과 이 회동을 ‘주선’한 사자자리의 1등성 레굴루스까지 모습을 드러내면 ‘출석’이 끝난다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경각심을 주는 것도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예측한 미래 해
양
환경은 핑크빛이 아니다. 그러나 미래는 준비하는 자의 몫이라고 했다.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 ...
피부에서 산소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넣었다. 몇 분이 지나고 두 쥐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정상 쥐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의
양
이 30배나 늘었지만 돌연변이 쥐는 아주 조금 증가하는 데 그쳤다. 즉 피부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존슨 교수는 “기존 운동선수들은 몸 속의 산소 농도를 높이기 위해 몸에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밀과 쌀의 가격이 치솟자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감자가 차세대 식량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과학진흥을 위해 많은 연구소를 관리·경영하는 독일의 법인기관 정식 명칭은 ... 흑색소포자극(黑色素胞刺戟)호르몬, 인터메딘(intermedin)이라고도 한다1955년 소 · 돼지 ·
양
등의 뇌하수체 ... ...
석유, 이제는 만드는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연구를 치열하게 진행하고 있다. 검은 모래에 붙은 석유를 뽑아내고, 인류가 200년 쓸
양
이 묻혀 있다는 석탄을 석유로 바꾸는 프로젝트가 한창이다. 최신 생명공학 기술로 ‘조련’된 대장균은 설탕을 먹고 석유를 내뱉는다. 1908년 5월 이란에서 대형 유전이 발견되면서 시작된 중동 석유 시대가 10 ... ...
Intro 석유시대 종말 연착륙을 위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셈이다. 이 수치는 지구촌 사람들의 평균치 4배에 해당한다. 물론 산업생산에 들어가는
양
과, 원유를 들여와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바꿔 다시 수출하는 물량이 포함돼 있는 수치라 이런 단순 비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인류가 석유에 ‘중독’됐다고 말할 때 한국인의 중독은 그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도정보서비스에 쏟아 부은 걸까.21세기 들어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정보의
양
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그래서 ‘정보는 많을수록 좋다’는 패러다임이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듯 했다. 하지만 정보가 너무 많다보니 이젠 ‘쓸모 있는 정보가 중요하다’는 패러다임이 곧 이를 대체했다. ... ...
이전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