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비
비교
대치
점검
대립
체크
확인
d라이브러리
"
대조
"(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03
강한 AI론자들은 인간을 능가하는 체스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도 열정을 쏟았다.강한 AI와
대조
적으로 인간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려는 Al, AI 연구성과를 다른 과학연구나 실천적 과제에 응용하려는 AI를 샬은 '약한 AI'라고 불렀다. 약한 AI 개념에 대해서는 로자크조차 그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 ...
2월의 밤하늘 광기어린 늑대별과 귀여운 애완견
과학동아
l
199102
준다. 옛날 중국에서는 이별을 천랑성(天狼星, 하늘의 늑대별)이라고 불렀다. 이와는
대조
적으로 흰색의 프로키온은 작고 귀여운 애완견의 느낌을 준다.시리우스의 남쪽 4° 근방에는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 유명한 산개성단(M41, 5등급)이 있는데, 공해가 적은 시골하늘에서는 쌍안경으로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02
그 단백질이 가수분해되는 것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그런데 어두운 곳에 보관한
대조
식물(차갑게 하지 않은)이 더 심한 분해를 일으켰다.여러 연구가들은 단백질이 냉각상해를 입는 동안에 분해되는 것 같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추위에 민감한 식물을 통해서는 단백질의 분해를 관찰할 수 ... ...
태양만 뜨겁게 작열하는 수성(Mercury)
과학동아
l
199101
해가 질 때쯤 되면 온도는 1백50℃로 내려가고 자정 때에는 영하 1백70℃가 돼 극단적인
대조
를 보인다. 수성은 행성중에서 온도의 변화폭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행성이다.수성은 이와같이 온도가 높고 탈출속도가 낮으므로 대기를 가질 수 없다. 아무리 무거운 가스 분자라도 쉽게 수성을 탈출할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있어서 해방 이후 남한곤충학자들이 남한지역만을 대상으로 채집해서 표본을 모은 것과
대조
가 됩니다. 앞으로 한반도의 곤충상을 제대로 구성하려면 우리가 현재 갖고 있는 과거의 북한곤충표본과 현재 표본 또 남한의 표본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비교 연구하는 기회가 마련돼야 할 것입니다.사회 ... ...
음양 팔괘와 이진법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12
컴퓨터가 거리에 등장, 과학적(?)으로 점을 쳐주는 장면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 전혀
대조
적으로 보이는 컴퓨터와 점, 어떤 관계에 있을까. 프로그램의 비법(?)점술에서 최고의 경전으로 쳐주는 책이 주역(周易)이다. 중국 고대의 복희씨(伏羲氏)가 만든 것으로 전해지는 주역은 천지만물을 태극(太極 ... ...
IC 카드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11
출력한 뒤 홍씨는 자신의 단말기에 카드를 넣고 청구한 내용이 틀리지 않았는지
대조
해보기만하면 된다.미래사회의 홍길동씨가 쓰는 카드처럼 한 장의 플라스틱 카드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려면 우선 카드의 기억용량이 커야한다. 또한 기억된 많은 정보 중 언제 무엇을 내보낼 것인지를 판단할 수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10
붉은 단풍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온 산이 붉게 타는 듯한 찬란함은 푸른 가을 하늘과
대조
를 이루어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풍경이 되고 있다.붉은 색깔은 잎속에 미리부터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대체로 잎의 생활력이 쇠퇴하기 시작한 뒤에 형성된다. 당단풍 신나무 북나무 옻나무 참나무 ... ...
거북
과학동아
l
199010
간교하지만 위기를 기지로 벗어나는 토끼의 지혜와 순박하면서도 우직스러운 거북을
대조
적으로 풍자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서양에서도 거북에 관한 전설이나 미신이 적지 않다. 옛날 인도에서는 지구가 커다란 거북의 등을 타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또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10
아인슈타인 호킹 등이 전문연구 뿐 아니라 대중교육에도 열성을 보였던 것과 좋은
대조
를 이룬다. 한 사회의 과학수준을 끌어올리려면 전문가들이 다양한 형태로 대중과 만나야한다는 지적은 여기서 비롯되는 것이다.과학저술가는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많은 시간과 투자를 통해서야 길러질 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