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류
분류
d라이브러리
"
물줄기
"(으)로 총 53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10
미모사는 건드리면 잎을 오므리고, 대나무는 죽기 직전 꽃을 피운다. 해바라기는 해가 없는 밤을 어떻게 알았는지 서쪽으로 향한 얼굴을 동쪽으로 돌린다. 식물이 엮어내는 신비로운 행동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과연 식물도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을까.어른들 말씀 중 ‘범띠나 용띠는 집에서 짐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09
동아 사이언스와 동아일보 문화센터가 주최하는 중∙고교 과학교사를 위한‘ 자연생태계 학습탐사’가 SK의 후원으로 4년만에 재개됐다. 과학동아는 지난 7월30일부터 8월3일까지 4박5일 동안 16명의 과학교사와 함께강원도 민통선지역을 탐사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생태계의 보고로남아있 ... ...
옛사람이 들려주는 우주생성 신화
과학동아
l
200109
누구나 한번쯤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하는 궁금증을떠올린 적이 있을 것이다. 현대과학은 우주생성에 대해비교적 잘 설명하고 있지만 옛날에는 어떠했을까.우리조상이 들려주는 우주생성 신화에 귀기울여보자.밤하늘의 숱한 별들을 바라보면서 여러분은 무슨 생각을 하는가. 저 우주와 우리 ... ...
3. 원하는 때에 원하는 곳에서 분해 유산균 장까지 살아가는 비결
과학동아
l
200108
플라스틱이 분해된다? 요즘 유산균이 장까지 살아간다는 광고가 자주 나온다. 이 비밀은 인체에 해가 없이 분해되는 고분자로 만들어진 캡슐에 있다. 바로 생분해성 고분자다. 이것은 썩는 플라스틱을 가능케 하고 인공 장기를 배양하는 틀에도 쓰일 수 있다.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플라스틱이 들어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07
워터파크의 또다른 매력으로 다가온다.수백m 이상의 시작도 끝도 없이 고리를 이루는
물줄기
가 한방향으로 천천히 흐른다. 그래서 이 시설을 ‘느리게 흐르는 강’이라는 의미에서 ‘유수풀’이라고 부른다. 그 안에서 사람들은 느긋한 휴식을 맛볼 수 있다.그런데 시작도 끝도 없고 높이차도 없는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이집트 고대문명의 상징 피라미드. 일부에서는 외계인이 만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올 정도로 정교하고 거대한 미스터리 건축물이다. 최근 피라미드에 대한 과학적인연구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새롭게 밝혀지는 피라미드의 신비를 만나보자.피라미드는 왜 만들었을까. 이 거대한 건축물을 정말 ... ...
표면장력이 부리는 물의 마술
과학동아
l
200106
물의 표면장력이 크다는 증거다.그런데 이때 깡통을 손가락으로 쳐주면 그 충격으로
물줄기
들은 다시 갈라져서 세줄기로 흐른다.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액체들 중 표면장력이 가장 큰 것이 바로 물이다. 다른 물질과 비교하면 수은 > 물 > 알코올 순이다.뚝딱 실험2 퐁퐁 엔진왜 그럴까?!배의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날씨가 좋다면 매일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달. 흔히 보이기 때문에 관측하는데 소홀하기 쉽지만 맨눈이 아닌 쌍안경으로 본다면 흥미진진한 세계가 펼쳐진다. 지구의 하나뿐인 위성이자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을 새롭게 즐겨보자.서쪽 하늘을 붉게 물들인 저녁 노을마저 떠날 채비를 할 무렵, 홀연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01
장백폭포의 위용을 본다. 더욱이 장백폭포의 위 부분은 구름에 쌓여 있어, 마치 하얀
물줄기
가 하늘에서 내리는 듯한 착각을 갖게 한다.이 순간 하늘이 열렸다. 햇볕이 난 것이다. 장백폭포의 떨어지는 물결이 다시 구름이 되듯 퍼지는 부분에까지 태양은 빛을 내리고 있다. 아직 위쪽에는 여전히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11
못하고 계속 그 안에서 반사를 반복해 물의 흐름에 따라 휘어지는 것이다.여기에서의
물줄기
는 광통신의 광섬유와 역할이 같다. 공기에 비해 광섬유의 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빛이 작은 굴절룰은 가지는 밖으로 나가지 않고, 그 경계에서 전반사하면서 광섬유 속을 통과한다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