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밖"(으)로 총 2,9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11
- 미술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하는 건축가가 있다. 미국 하버드대 디자인스쿨을 졸업한 재능 있는 디자인 전문가지만, 분야가 전혀 다른 순수미술 분야에 작품을 내기란 쉽지 않다. 건축가는 더더욱 희귀하다. 이 건축가는 지난 2012년에는 구 서울역 건물을 개조한 '문화역 서울 284'에서 전시를 했다.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11
-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의 입은 제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그 안에서도 종에 따라 입은 그야말로 제각각이다. 입이 이렇게 제각각으로 발달한 것은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였다. 먹이를 더 효율적으로 먹을 수 있도록, 남들이 안 먹어서 찾기 쉬운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먹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11
- 올해 노벨 화학상은 복잡하고 큰 분자의 화학반응을 컴퓨터에서 계산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미국 하버드대 화학과의 마틴 카플러스 교수, 스탠퍼드대 구조생물학과의 마이클 레비트 교수, 서던캘리포니아대(USC) 화학과의 아리에 와르셸 교수 ... ...
- 변리사가 꿈인 분들은 변리사 하지 마세요 (특허법인 정진 김주연 변리사)과학동아 l201311
- 세계적인 기업인 삼성전자와 애플이 서로 특허를 침해했다며 몇 년째 법정 다툼을 하고 있다. 어떻게 결정 나느냐에 따라 회사의 운명이 바뀔 수 있다. 이뿐 아니다. 평생 개발한 기술을 특허를 내지 않아, 경쟁사에게 무너지는 중소기업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특허는 기업의 생명을 지켜주는 방패이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10
- 어과동 친구들, 안녕~. 오잉? 내가 누구냐고? 쳇! 날 몰라보다니, 실망이야. 난 달에 사는 달토끼라고! 얼마 전에 소문을 들었는데, 7년 뒤인 2020년에 어과동 친구들이 달에 온다는 거야. 이 소문이 정말일까? 아웅~, 궁금해서 안 되겠어! 내가 직접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가서 알아볼테야! 2020 대한민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10
- 인도네시아의 플로레스 섬에는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아부 고고라는 인물이 살았는데, 키가 1m 정도로 작았고 온몸이 털로 덮여 있었다는 내용입니다. ‘반지의 제왕’이나 ‘호빗’ 같은 영화에서 반인족 호빗은 발이 크고 털로 뒤덮여 있습니다. 뭔가 연관이 있을 것 같지 않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10
- 도시는 더 이상 인간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동•식물과 함께 살아가는 도시를 꿈꾸고 있다. 특히 꿀벌은 식물을 번식시켜 생태계 회복에 도움을 주고, 달콤한 꿀도 제공하는 매력적인 친구다. 그래서일까? 세계적으로 도시에서 꿀벌을 키우는 ‘도시양봉’이유행하고 있다 ...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과학동아 l201310
- 축을 둘러싼 둥그런 산호초(환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으며 환초로는 세 번째로 크다(가장 긴 환초는 뉴칼레도니아 환초며, 직선으로 가장 긴 산호초는 호주의 대산호초다). 축의 산호초는 한곳만 태평양을 향해 살짝 열려 있다. 2차 대전 당시 미국 항공모함이 이곳을 막으면서 일본군이 섬을 빠 ...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과학동아 l201310
- 안녕하세요? 밤이면 두 눈이 별이 되는 길고양이, 매력냥이랍니다.달과 별이 뜨는 뒷골목에서 살고 있고요,팍팍한 도시에서 사람들의 생선가게나 털면서 힘들게 살고 있어요.생선을 훔치다가 야단을 맞는 것이 일상인 힘겨운 삶이랍니다.그래도 어르신 고양이들은 도둑 고양이라고 불리며 사람을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10
- 요즘 인터넷에서는 난독증이 계절감기 만큼이나 대유행이다. 댓글 중에 시비가 붙었다 하면 서로를 난독증이라 힐난하는 것으로 선전포고를 대신한다. 물론 진짜 난독증은 거의 없다. 보통은 글을 주의 깊게 읽지 않거나, 글 자체가 난삽하거나, 독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글자를 잘 읽지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