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의"(으)로 총 5,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03
- 올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생소한 신규 직군이 등록됐다. 바로 ‘디지털 장의사’.디지털 장의사가 하는 일은 개인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의 기록을 지워주는 것이다.자신도 모르게 퍼진 음란물 삭제 요청만 한 해 5만여 건에 이른다(2014년 기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저도 이 일을 시작하기 전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03
- 수학을 알면 평범한 사진도 얼짱★ 사진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고 해요. 저는 수학으로 사진을 포장해 인스타그램을 數스타그램으로 활용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먼저 살이 찌면서 둥그레진 얼굴을 갸름하게 바꿔야겠어요. 저는 스마트폰 어플 ‘포토원더(Photo Wonder)’에 있는 ‘갸름하게’ 기능 ... ...
- [소프트웨어] SW 기업 탐방_‘짤로그’수학동아 l201603
- 서울에 있는 KAIST 도곡캠퍼스에는 탄탄한 아이디어로 가치를 만들어내는 벤처기업이 밀집해 있다. 기자가 찾은 (주)스토리허브도 그중 하나다. 사무실로 들어서니 박성진 대표와 동료들이 기자를 반갑게 맞았다.사무실 벽에는 사람 옷을 입은 동물 캐릭터와 웹툰 속 장면을 출력한 그림이 나란히 붙 ... ...
- [News & Issue]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과학동아 l201602
- 고고학 ․ 우주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 명왕성의 비밀이 하나 둘 밝혀지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해 뉴호라이즌 호가 촬영한 명왕성 남극의 화산 ‘라이트몬스(Wright Mons)’의 사진을 1월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라이트몬스는 너비가 약 160km, 높이가 4km로 지구에서 가장 높 ...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과학동아 l201602
- 단어를 만들어내고, 그 단어를 작품 속에 표현했다. 이충순 벗이미술관장(정신과 전문의)은 “자신만의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내는 특징(조어증)은 일부 조현병 환자들에게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발라는 대표적인 ‘아르 브뤼(Art Brut)’ 작가다. 20세기 프랑스 화가 장 뒤뷔페(1901~1985)가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02
- 세계에서 가장 춥다는 남극 한 지역의 최저 기온은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02
- 1월 12일 오전 9시, 부산에 위치한 해군 작전사령부. 세종대왕함에서 500m 떨어진 부둣가에 노란 출입통제선이 쳐졌다. 선 너머로 다이버 네 명이 잠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해군 헌병단 수중과학수사대의 훈련현장이다. 고무보트 한 정이 부두 주변을 바쁘게 움직이며 안전을 점검했다. 영하 1℃의 날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02
- 길을 걷다 보면 발 밑에 조그만 개미들이 기어간다. 정말 하찮은 미물이다. 누가 이들에게 신경이나 쓰겠는가? 믿거나 말거나, 찰스 다윈에겐 이들이 엄청난 우환거리였다. 다윈은 일개미나 일벌처럼 자신은 새끼를 낳지 않으면서 집단을 위해 헌신하는 불임성 일꾼 계급이 어떻게 자연 선택에 의해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02
- 한국인의 밥상은 발효식품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다. 대표적인 것이 김치, 그리고 각종 장류다. 한국의 장은 주로 메주를 이용해 만드는데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간장의 맛은 된장이나 고추장에 비해 폄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간장의 맛은 생각보다 훨씬 오묘하고 ... ...
- [수학뉴스]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수학동아 l201602
- 여러분은 피자를 먹을 때 어떻게 자르나요? 부채꼴 모양으로 자르면 피자주변을 두르고 있는 두꺼운 빵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빵 부분을 무조건 받게 됩니다. 만약 피자에 곡선을 그어 똑같은 크기대로 나누면 어떨까요? 각자 원하는 부분을 먹을 수 있지만 피자를 곡선으로 자르는 건 아주 까다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