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배"(으)로 총 5,40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03
- 올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생소한 신규 직군이 등록됐다. 바로 ‘디지털 장의사’.디지털 장의사가 하는 일은 개인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의 기록을 지워주는 것이다.자신도 모르게 퍼진 음란물 삭제 요청만 한 해 5만여 건에 이른다(2014년 기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저도 이 일을 시작하기 전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03
- 우리는 매일 웃는다. 현실에서 웃을 일이 자꾸 사라져 간다지만, TV와 온라인 공간에서 각종 예능 프로그램과 웃긴 동영상을 탐닉하며 짧게나마 웃는다. 그래서일까. 우리는 웃음이, 인간이 탄생하기도 전에 나타나 영겁의 세월 동안 자연선택에 따라 생존과 번식에 도움을 주며 잘 다듬어져 온 놀라 ...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수학동아 l201603
- 한국시간으로 2월 12일 오전 0시 30분. 워싱턴DC 내셔널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인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데이비드 라이츠 미국 라이고(LIGO) 실험 책임자가 지난해 9월 14일, 미국 리빙스턴과 핸포드 두 곳에 있는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에서 중력파를 관측하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03
- 지난 1월 새로운 거대 소수가 발견됐다. 지금까지 발견됐던 소수도 굉장히 큰 수였는데, 이번에 발견된 소수는 그보다 더 크다고 한다. 글자 크기를 4포인트로 작게 인쇄해도 무려 500쪽짜리 책이되며, 4초에 숫자 10개씩 쓴다고 하면 전체를 쓰는 데 3개월이 넘게 걸린다. 이 어마어마한 수를 어떻게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02
- 수중과학수사는 물에서 시작하지만, 물 밖까지 이어진다. 수중과학수사대가 찾은 증거를 육상에서 분석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전북지방경찰청(이하 전북청) 과학수사대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수중증거·사체 분석실험을 했다. 유전자, 지문, 부패 세 분야에 걸친 실험은 기존 과학수사와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02
- 분비량이 적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논문에 따르면 여름이 겨울보다 약 2배 가량 일조량이 많고, 뇌에서 생성하는 세로토닌 양은 약 7배나 많았다. 일조량이 적으면 쉽게 피곤해질 수도 있다. 영국 에든버러대 라스 펜크 교수팀은 일조량이 적으면 피부에서 비타민 D3 합성이 적어지기 ... ...
- [Tech & Fun] 광물이야기12 콩크레소-레온 황연석(Mimetite) 어느 모험가의 유산과학동아 l201602
- 1968년 어느 날. 경제성이 떨어져 오랜 기간 채굴을 중단한 멕시코치와와 주의 콩그레소-레온(Congreso-Le’on) 광산 입구에 눈빛이 날카로운 남자가 들어섰다. 광물 딜러인 베니 펜이었다.그는 지하 깊은 곳까지 목숨을 건 모험을 시도했다. 갱도를 떠받치고 있는 침목은 불에 탄 상태였고, 곳곳이 지하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02
- km까지 이동할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충전 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이고, 효율은 지금보다 2배 높은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해서 연구하고 있답니다. # 오우~! 스마트 모빌리티가 이렇게 많았다니 놀라워! 게다가 모두 과학 원리가 담겨 있잖아. 그런데 말야, 친구들이 어른이 됐을 때는 또 어떤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02
- 1월 12일 오전 9시, 부산에 위치한 해군 작전사령부. 세종대왕함에서 500m 떨어진 부둣가에 노란 출입통제선이 쳐졌다. 선 너머로 다이버 네 명이 잠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해군 헌병단 수중과학수사대의 훈련현장이다. 고무보트 한 정이 부두 주변을 바쁘게 움직이며 안전을 점검했다. 영하 1℃의 날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02
- 1인 가구가 늘면서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들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끝없이 사람의 애정을 갈구하는 개와 달리 야생동물처럼 독립적이기 때문. 그런데 이상하다. 인간의 사랑을 듬뿍 받는데, 왜 아직도 야생의 습관을 간직하고 있는 걸까. 고양이가 보여주는 야생성과 사회성, 그 猫(묘)한 줄타기의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