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립과학관
국립
d라이브러리
"
과학관
"(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과학에 관심이 없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인구 1천만의 수도 서울을 담당한 서울
과학관
. 필자가 대학에 다니던 70년대 중반이나 지금이나 전시물이 그대로다. 이는 서울시의 책임도, 과기처의 책임도, 교육부의 책임도 아니다. 서울 시민 모두의 책임이다. 근본적으로 서울 시민들이 과학이나 ... ...
광복 50주년 기념 남극사진전 개최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비디오 등을 소개한다.(후원:한국방송공사, 한국일보사)서울:서울
과학관
특별전시실('95. 8. 1~8. 8)부산:리베라백화점 특별전시실('95. 8. 11~8. 18)광주:남도예술회관 1층 전시실('95. 8. 21~8. 26 ... ...
옹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속에서 8백℃ 이상에서만 나타나는 루사이트(leucite)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국립중앙
과학관
학술총서 '옹기' 편에 따르면 옹기를 굽는 과정에서 고령토(${Al}_{2}$${O}_{3}$·${SiO}_{2}$·${2H}_{2}$O)가 루사이트(${K}_{2}$O·${Al}_{2}$${O}_{3}$· ${4SiO}_{2}$)화된다는 점이 편광 ...
2. 현대 로켓의 시조 V-2와 그 후예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과학로켓터키의 육군 포병학교 교관으로 있었던 독일인 R. 베아우르는 아주 일찍부터
과학관
측 로켓을 제작했다. 그가 개발한 로켓은 앞부분에 폭발 화약을 싣고 높이 9백14m까지 상승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종류의 로켓은 1905년까지 여러 번에 걸쳐 실험되었다. 그는 응용 로켓을 발사해서 우박 ... ...
대전 EXPO에 등장한 첨단 영상기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전기에너지관의 입체영화는 영사기는 아이웍스 70㎜ 8P(톱니구멍의 수가 8).그러나 인간과
과학관
의 아이맥스3D는 가장 최신의 입체영화기법을 사용한 70mm 15p로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게 했다. 편광안경에는 고감도 필터를 채용, 입체감을 강화시켰다.이들 입체영화의 특징은 화면 속의 호랑이가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있다. 과학발전은 바로 무한한 인간의 꿈을 동력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인간과
과학관
은 사선형 본체를 중심으로 정육방체 보조 건물이 둘러싸고 있다. 본체에 사선을 강조한 이유는 건물의 장중함이 주는 중압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건물 외형은 모두 골든미러로 만들어져 있다. 골든 미러란 ... ...
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발명에 관심이 있으면 발명교실이나 발명품 전시회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좋다.천재나 정규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만이 발명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발 ... 자원재활용 부문에 각각 출품할 수 있는데 출품작은 8월 3일부터 24일까지 대전 국립중앙
과학관
특별전시관에 전시될 예정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접류목록'을 완성할 예정입니다."지난 1월 28일부터 3월 말일까지 이 모임은 또 국립서울
과학관
에서 '세계의 진귀곤충 전시회'를 개최해 화제를 모았다. 이때 출품된 나비는 회원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미국 남미 등 세계 각국에서 채집·수집한 것들로 모두 7천여 마리를 선보였다. 이 가운데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함부로 아무렇게나 이용해서는 절대 안된다는 것을 모두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해양
과학관
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립 초기단계에서부터 주제의 설정, 전시연출 개념의 확립 그리고 정확한 경제성 분석이 대단히 중요하다.이러한 바탕위에 해양관계전문가, 전시연출가 그리고 건축가 등이 팀을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는 이야기가 나중에 나오기도 했다.서강대 천문반 '별' 팀이 맡은 신촌지역(서강대
과학관
옥상)에서는 한종현군 등 5명이 참여해 3일 연속, 날씨를 가리지 않고 관측을 추진해 분석팀으로부터 감투상을 주어야 한다는 평을 받기도 했다. 관측일지에는 8월3일의 날씨를 "약간의 구름이 있었으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