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붙은 것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 건물은 모든 공간에 장벽이 없었다. 연구단 소속 교수들의 연구실 벽은 통유리였고, 층마다 마련된 실험실은 뻥 뚫려 있었다. 자리에서 일어나 둘러보기만 하면 누가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천 단장은 “나노의학 연구단은 나노과학자, ...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생각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 ❋필자소개.전상은. 경북대 신소재공학부 금속신소재전공 교수. 미국 카네기멜런대에서 2011년 재료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같은 대학교와 미국 오리건대의 박사후 연구원을 거쳐 2016년부터 경북대에서 재직 중이다. 전기화학 기반의 다양한 에너지 저장장치용 ... ...
-
- [특집] 최후의 승자는? 인류 vs 모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우리 피를 빨아먹고 각종 질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해충, 모기. 모기가 지구에서 사라질 수는 없는 걸까? 과학자들은 인류를 지키기 위해 오랫동안 모기와 팽팽한 싸움을 벌이고 있어. 그런데, 잠깐! 모기가 사라지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제작될 만큼 유명하지요. 4월 27일,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학교 캐서린 문 교수팀은 당시 개들을 이끈 썰매견 ‘발토’의 유전 정보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미국 클리블랜드 자연사박물관에 보존된 발토의 가죽에 남겨진 DNA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발토는 현대의 ... ...
-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지구 밖에도 생명체가 살아 숨쉬는 곳이 있을까?”인류는 우주로 탐사선을 보내 목성, 토성 등 외행성계에 ‘바다(물)’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어요. 바다에는 외계 생명체가 살 확률이 높아 과학자들이 주목하고 있지요. 최근 유럽우주국(ESA)은 바다와 생명의 흔적을 파헤치기 ...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옮길 때 드는 힘의 20% 정도만 쓰고도 물체를 옮길 수 있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서정원 교수는 “이 방법을 이용해 드론이나 로봇 등으로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는 물체를 옮기면, 훨씬 적은 에너지로도 큰 효율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왜 이런 일이?→결과 : 이쑤시개의 꺾인 부분이 ... ...
-
-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사람은 우리나라 수학자인 김민형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교수입니다. 2021년 ICMS 소장으로 부임해 수학의 쓸모를 알리고 국가 간의 수학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 ...
-
- 1차 프로젝트 엿보기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민주주의에도 수학이 필요투표와 대표제의 수학이스마 볼리치 미국 웨슬리대학교 교수 및 미국 수학과 민주주의 연구소장 민주주의 국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표, 대표제 같은 정치 요소에도 수학이 꼭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수학을 이용하면 특정 정당이나 후보가 당선에 유리하게 ... ...
-
- 폴리매스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3년 11호
- Q. 폴리매스란 무엇인가요? 2009년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는 혼자서는 풀기 어려운 수학 난제를 온라인에서 함께 풀자고 제안했어요. 이것이 바로 수학 공동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입니다. 는 우리나라 청소년도 수학자의 연구 방법을 경험할 수 있게 ... ...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되돌아 보게 된다. 아고스티니 교수가 ‘문턱 넘는 이온화’ 실험을 수행하고, 륄리에 교수가 ‘고차조화파’를 발견했을 당시에는 이것들이 노벨상을 받게 되리라고는 꿈도 꾸지 못했을 것이다. 그저 과학자들은 눈앞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묵묵히 연구해왔을 뿐이다. 기초과학의 발전에 ... ...
이전323334353637383940 다음